Skip to main content

Super easy no-oven gratin recipe with instant noodles 라면사리로 쉽게 만드는 노오븐 그라탕 레시피

The other day I opened two packages of instant jajang noodles (Zha Wang) and used one serving of noodles and two sets of seasoning packets to make restaurant quality jajangmyeon. (Here's the recipe) Therefore, one serving of instant noodles were left. Today, I searched online for ideas to make the best use of the leftover instant noodles. I realized that I could turn instant noodles into makeshift pasta, so I made pasta gratin with it. The recipe required an oven but I didn't have one. As a result, the dish's cheese crust lacked crispiness but was still a mouthwatering and tasty dish. You should try it!

며칠전 중국집 자장면을 만들려고 짜왕 두 봉지를 뜯고서 면 1인분과 소스 2인분을 써버렸습니다. (레시피는 여기에) 그래서 면 1인분이 남았지요. 오늘 그 면을 활용할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인터넷 검색을 해봤습니다. 인스턴트 면을 파스타 면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파스타 그라탕을 만들었습니다. 오븐을 사용하는 레시피였지만 저는 오븐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표면의 치즈를 바삭하게 만들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군침도는 맛있는 요리였습니다. 한 번 시도해보세요!


Here's the simple recipe for gratin with instant noodles.
라면사리로 간단히 만들 수 있는 그라탕을 소개합니다.

Ingredients/재료:
1 package instant noodles / 라면사리 1개
60 g frozen shrimp (8 large shrimp), peeled and deveined / 손질된 새우 60 g (큰 새우 8개)
4 strips bacon, chopped / 베이컨 4줄, 잘라놓은 것
10 g butter / 버터 10 g
50 g mozzarella cheese, shredded / 모짜렐라 치즈 50 g, 채썰린 것 (슈레드 치즈)
1 slice Cheddar cheese / 슬라이스 체다 치즈 1개
1/3 onion, diced / 양파 1/3, 작게 썰은 것
3 cloves garlic, sliced / 마늘 3조각, 편썰기한 것
1 pinch salt / 소금 한 꼬집
1 pinch parsley flakes / 파슬리 후레이크 한 꼬집
2 pinch black pepper powder / 후추 두 꼬집
200 ml milk / 우유 200 ml

Estimated time: 10-15 mins
예상 조리 시간: 10-15분

1) Pour milk in a cup and mix in a pinch of salt and black pepper powder.
2) Rinse the shrimp in cold water. Put in a bowl and pour soju over shrimp until half-immersed. (To remove the fishy smell of shrimp.) Let them sit 10 minutes, then pat dry with a paper towel.
3) Boil one serving of instant noodles in a pot until you can barely untangle the strands (1-2 minutes). Drain the noodles.
4) In a medium saute pan, melt butter over low heat. Add garlic and bacon and stir-fry over medium heat until aromatic.
5) Add shrimp and turn occasionally until barely pink.
6) Add onion and stir-fry until golden.
7) Add milk from step 1 and reduce heat to low and simmer. When it boils, add a slice of Cheddar cheese and mix until clumps disappear.
8) Add half-cooked noodles and mix. Sprinkle with mozzarella cheese, then parsley.
9) Close the lid of the pan and simmer until mozzarella cheese is melted. (If the sauce reduces too much, add a few Tbsp milk.)

1) 컵에 우유를 따르고 소금과 후추를 각 한 꼬집 넣고 잘 섞는다.
2) 새우를 찬 물에 씻고 그릇에 담은 뒤 반쯤 잠길 정도로 소주를 붓는다. (비린내를 없애기 위함) 10분 정도 놔두고 키친타월로 물기를 제거한다.
3) 물을 끓여 라면사리가 겨우 풀어질 정도로만 익힌다. (1-2분) 체에 밭쳐 놓는다.
4) 중간 사이즈의 소테 팬에서 약불에 버터를 녹인다. 마늘과 베이컨을 넣고 중간불에서 향이 올라올 정도로 볶는다.
5) 새우를 넣고 분홍빛이 겨우 돌 정도로 뒤집어가며 익힌다.
6) 양파를 넣고 금빛이 돌 때까지 저어가며 볶는다.
7) 1단계에서 미리 준비해둔 우유를 넣고 약불로 줄여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체다 치즈 슬라이스 1장을 넣고 덩어리가 없어질 때까지 섞는다.
8) 미리 밭쳐놓은 면을 넣고 섞는다. 모짜렐라 치즈를 뿌린 뒤 파슬리도 뿌린다.
9) 팬 뚜껑을 닫고 모짜렐라 치즈가 녹을 때까지 끓인다. (소스가 너무 줄어들면 우유 몇 스푼 추가한다.)



(I added peperoncini, because I like a bit of a spicy kick.)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토익 공부 안 하고 한 번에 985점 받은 후기/평소 영어 실력 키우기

공인 영어 시험 성적이 필요하지도 않았는데 작년에 수험료 할인 기회가 있어서 토익 시험을 보았다. 공인 영어 시험은 약 8년만이었다. 토익 점수가 영어 실력과 비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문제풀이 스킬에 의존해서 실제 실력에 비해 고득점을 받을 수도 있고, 점수만 높고 말하기가 전혀 안 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반대로 평소 영어 실력이 좋다면 학원 도움 없이 어렵지 않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1년 정도 일상에서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고 내 실력 변화가 궁금했다. 내 평소 실력을 확인하고 싶어서 문제 유형 확인을 위한 모의고사 1회만 풀어보고 토익 시험에 응시했다. (파트별 문제집이나 학원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나는 30대 중반의 직장인이다. 직장에서는 그닥 영어를 쓸 일이 없다. 이제까지 해외여행을 제외하고 외국에 살아 본 적이 없다. 최근 10년간은 영어 학원에 다닌 적이 없다. +고등학교 시절 1학년때 한 8개월, 3학년 때 2개월 정도 영어 학원에 다녔다. 과외는 받아본 적이 없다. 대학생 때(텝스 990이 만점이던 시절) 텝스 공부를 혼자서 해본 적이있다. 신입생 때 교내 모의 토익을 한 번, 8년전에 취업 서류 제출때문에 공인 토익 시험을 한 번 봤다. 다만, 시험을 보기 전에 1년 정도는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다. 영어를 시험 과목이나 자격증이 필요한 분야보다는 그저 언어로 생각하며 지냈다. 특별한 목표 설정 없이 그저 일상에서 영어를 많이 사용하려고 했는데 자세한 이야기는 뒤에서 하려고 한다. 985 점이 나왔다. 세상에, 나도 놀랐다. Listening part는 사실 안 들리는 부분은 거의 없었다. 다만 내가 영어 시험이란걸 본 지가 오래 되어서 그런지 '와 요새는 보기가 이런식으로 나와?' 하다가 다음 문제를 못 듣고 당황해서 찍은게 몇 개 있었는데 거기서 틀린 것 같다. 아직 운전하며 우리말 라디오 방송 듣듯이 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