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한국 가정식의 혁명 Revolution of home cooking in Korea

Home cooking is never easy. Having a decent home meal with fresh ingredients requires frequent grocery shopping, preparation, and cooking. All of these need your time and energy, and for most people, these are in short supply. Eating out can be an alternative option for families and couples who can afford it. It's possible to dine at a restaurant alone, but restaurant owners don't exactly make single eaters feel welcome. Korean food culture is changing, but it's customary for diners to share a large bowl of a main dish along with a few common side dishes. For that reason, eating out with a group of people is still common. Restaurant owners discourage solo dining because offering one serving of a main dish and its accompanying sides is not cost-effective. For solo diners, the menu choices they offer are limited.

집에서 만든 요리로 식사를 하는 것은 절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신선한 재료로 만든 그럴듯한 가정식으로 식사를 하려면 장보기도 자주 해야 하고, 재료 손질을 하고, 조리를 해야 합니다. 모두 시간과 에너지가 쓰이는 일인데, 많은 사람들이 그럴 여유를 누리지 못합니다. 형편이 되는 가족이나 부부들은 외식을 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겠지요. 음식점에서 혼자 식사를 하는 것도 가능하긴 하지만 음식점 주인들이 그닥 달가워 하지는 않습니다. 한국의 식문화가 변해가고 있기는 하지만, 큰 그릇에 담긴 요리와 그 외 반찬들을 여러 명이 나누어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런 이유에서 외식은 여러명이 함께 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음식점 주인들은 요리 1인분과 그에 따른 반찬들을 제공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혼자 식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식사를 혼자 하는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메뉴는 제한적입니다.

That's why many folks are relying on Home Meal Replacements (HMR). These easily prepared meals have even become popular among families with teenagers because they usually don't have time to sit around the table together for a meal. (It's common for parents' work schedules and children's cram school schedules to conflict.) These families look for quick and convenient meals for each person to eat whenever they have a moment to spare.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간편 가정식(Home Meal Replacements)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편하게 준비할 수 있는 식사는 학생 자녀가 있는 가족들에게도 인기가 많습니다. 한 번에 모여서 식사를 할 시간이 없기 때문입니다. (부모의 출퇴근과 아이들의 학원 일정이 잘 맞지 않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각자 시간날 때 언제나 먹기 쉽고 편한 식사를 원합니다.

Evolution of Home Meal Replacements in Korea 한국 가정 간편식의 진화

HMR refers to staple foods or side dishes that don't require customers to go through the cumbersome cooking process. They don't include snacks or desserts. HMRs were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the 1980s with pouches of curry and jjajang (Korean black  bean sauce).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frozen or refrigerated foods like dumplings were unleashed on the market. Up until then, such foods weren't considered proper meals, but people embraced these more convenient foods, arguably at the cost of taste and health. From 2013 to 2014, food companies expanded the variety of products and made them more palatable. They introduced various styles of stew and even exotic dishes from around the world. Since 2015, Korean companies have been trying to meet consumers' demand for tastier and more nutritious food, releasing premium lines of products. Meanwhile, some companies have begun to offer "meal kits" as a fresher alternative.

간편 가정식은 번거로운 조리 과정이 필요 없는 요리나 반찬을 말합니다. 간식이나 디저트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한국에는 봉지 형태로 된 카레와 짜장으로 1980년대에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만두와 같은 냉동 또는 냉장 식품들이 출시되었습니다. 그때까지는 가정 간편식은 제대로 된 식사로 간주되지는 않았고 맛과 건강은 포기하고 단지 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 정도로 받아들여졌습니다. 2013년에서 2014년에 이르는 기간에는 식품 회사들이 제품의 종류를 확장시키고 맛도 개선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국들과 세계 요리들이 출시되었습니다. 2015년 이후에는 소비자들이 더 영양가가 높고 맛있는 음식을 원함에  따라 고급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일부 회사들은 더 건강한 식사를 위한 대안으로써 "밀키트"를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

Korea's growing meal kit market and its prospects 한국 밀키트 시장의 성장과 미래

Unlike ready-made meals that can be eaten after simply being heated, meal kits are packages filled with pre-portioned fresh ingredients necessary to cook a specific dish. Meal kits allow busy people to have a decent home meal without the hassle of going grocery shopping and preparing ingredients. They also lift the burden of choosing what to have for a meal. Growth in Korea's meal kit market reflects the trend that many people are looking for delicious and high-quality food even when they have to eat in a rush. Meal kits are now available at brick-and-mortar retailers, or you can have them delivered to your home regularly.

간단하게 데워서 먹을 수 있는 조리식품과 다르게 밀키트는 특정 요리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신선 재료들이 미리 손질되어 나누어 담겨있는 포장품 형태입니다. 바쁜 사람들도 밀키트를 이용하면 장을 보고 재료를 손질하는 번거로움 없이 제대로 된 가정식을 즐길 수 있습니다. 식사 메뉴를 정해야 하는 부담도 덜게 됩니다. 한국 밀키트 시장의 성장은 많은 사람들이 서둘러 식사를 해야 하는 때조차 맛좋고 고품질의 음식을 원한다는 현실을 반영합니다. 밀키트 제품들은 오프라인 소매점에서도 구매가 가능하고, 정기적으로 집으로 배달시킬 수도 있습니다.

Meal kits from Emart in Korea
The origins of the meal kit business can be traced back to Sweden in 2007, and it quickly spread to other European countries. It took hold in the US around 2012. In Korea, the startup FreshEasy introduced its meal kit delivery service in 2016, and remains number 1 on the market, accounting for about 70% of the market share. With the expanding market, other startups, food retailers, and manufacturers are jumping in the race. The market size is relatively small for now, an estimated 40 billion won, compared with the HMR market of over 3 trillion won. The popularity of meal kit products is expected only to grow, considering an increasing number of single and two-member households in Korea. Those in the industry foresee that the market will grow to 700 billion won by 2024. Nevertheless, some experts are showing concerns about its prospects for several reasons. The first is market saturation, assuming that only a small portion of single and two-member households enjoy the experience of cooking. Also, there are already many players because entry barriers are low enough to create more intense competition. Lastly, the short sell-by date of meal kits makes it harder for the supplier to reduce waste and serves as a disadvantage when competing with HMR.

세계 최초의 밀키트 사업은 2007년 스웨덴에서 시작되어 유럽 국가들로  빠르게 퍼져나갔습니다. 미국에서는 2012년에 도입되어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스타트업인 프레시지(FreshEasy)가 2016년에 밀키트 배송 서비스를 도입해서 현재 밀키트 시장의 70%를 차지하며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다른 스타트업들, 식품 판매사, 제조사들이 경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3조원이나 되는 간편 가정식 시장에 비해서 현재 밀키트 시장은 400억 규모로 추산되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습니다. 그러나 한국에서 1-2인 가구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밀키트 제품의 인기는 상승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시장이 2024년까지 7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봅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몇 가지 이유를 내세워 시장 전망에 우려를 표합니다. 먼저, 1-2인  가구의 일부만이 요리를 즐길 것이기 때문에 수요가 제한적입니다. 그리고 이미 시장에 뛰어든 회사가 많고 진입장벽이 낮아 경쟁이 더 치열해져 결국 시장 포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밀키트의 유통기한이 짧기 때문에 공급업체에서 폐기율 관리가 어렵고 가정 간편식과의 경쟁에서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도 어렵습니다.


**Bold text marks useful English expressions for me.
**볼드체는 제 기준에서 유용한 표현을 표시해둔 것입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토익 공부 안 하고 한 번에 985점 받은 후기/평소 영어 실력 키우기

공인 영어 시험 성적이 필요하지도 않았는데 작년에 수험료 할인 기회가 있어서 토익 시험을 보았다. 공인 영어 시험은 약 8년만이었다. 토익 점수가 영어 실력과 비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문제풀이 스킬에 의존해서 실제 실력에 비해 고득점을 받을 수도 있고, 점수만 높고 말하기가 전혀 안 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반대로 평소 영어 실력이 좋다면 학원 도움 없이 어렵지 않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1년 정도 일상에서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고 내 실력 변화가 궁금했다. 내 평소 실력을 확인하고 싶어서 문제 유형 확인을 위한 모의고사 1회만 풀어보고 토익 시험에 응시했다. (파트별 문제집이나 학원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나는 30대 중반의 직장인이다. 직장에서는 그닥 영어를 쓸 일이 없다. 이제까지 해외여행을 제외하고 외국에 살아 본 적이 없다. 최근 10년간은 영어 학원에 다닌 적이 없다. +고등학교 시절 1학년때 한 8개월, 3학년 때 2개월 정도 영어 학원에 다녔다. 과외는 받아본 적이 없다. 대학생 때(텝스 990이 만점이던 시절) 텝스 공부를 혼자서 해본 적이있다. 신입생 때 교내 모의 토익을 한 번, 8년전에 취업 서류 제출때문에 공인 토익 시험을 한 번 봤다. 다만, 시험을 보기 전에 1년 정도는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다. 영어를 시험 과목이나 자격증이 필요한 분야보다는 그저 언어로 생각하며 지냈다. 특별한 목표 설정 없이 그저 일상에서 영어를 많이 사용하려고 했는데 자세한 이야기는 뒤에서 하려고 한다. 985 점이 나왔다. 세상에, 나도 놀랐다. Listening part는 사실 안 들리는 부분은 거의 없었다. 다만 내가 영어 시험이란걸 본 지가 오래 되어서 그런지 '와 요새는 보기가 이런식으로 나와?' 하다가 다음 문제를 못 듣고 당황해서 찍은게 몇 개 있었는데 거기서 틀린 것 같다. 아직 운전하며 우리말 라디오 방송 듣듯이 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