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한국 가정식의 혁명 Revolution of home cooking in Korea

Home cooking is never easy. Having a decent home meal with fresh ingredients requires frequent grocery shopping, preparation, and cooking. All of these need your time and energy, and for most people, these are in short supply. Eating out can be an alternative option for families and couples who can afford it. It's possible to dine at a restaurant alone, but restaurant owners don't exactly make single eaters feel welcome. Korean food culture is changing, but it's customary for diners to share a large bowl of a main dish along with a few common side dishes. For that reason, eating out with a group of people is still common. Restaurant owners discourage solo dining because offering one serving of a main dish and its accompanying sides is not cost-effective. For solo diners, the menu choices they offer are limited.

집에서 만든 요리로 식사를 하는 것은 절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신선한 재료로 만든 그럴듯한 가정식으로 식사를 하려면 장보기도 자주 해야 하고, 재료 손질을 하고, 조리를 해야 합니다. 모두 시간과 에너지가 쓰이는 일인데, 많은 사람들이 그럴 여유를 누리지 못합니다. 형편이 되는 가족이나 부부들은 외식을 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겠지요. 음식점에서 혼자 식사를 하는 것도 가능하긴 하지만 음식점 주인들이 그닥 달가워 하지는 않습니다. 한국의 식문화가 변해가고 있기는 하지만, 큰 그릇에 담긴 요리와 그 외 반찬들을 여러 명이 나누어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런 이유에서 외식은 여러명이 함께 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음식점 주인들은 요리 1인분과 그에 따른 반찬들을 제공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혼자 식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식사를 혼자 하는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메뉴는 제한적입니다.

That's why many folks are relying on Home Meal Replacements (HMR). These easily prepared meals have even become popular among families with teenagers because they usually don't have time to sit around the table together for a meal. (It's common for parents' work schedules and children's cram school schedules to conflict.) These families look for quick and convenient meals for each person to eat whenever they have a moment to spare.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간편 가정식(Home Meal Replacements)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편하게 준비할 수 있는 식사는 학생 자녀가 있는 가족들에게도 인기가 많습니다. 한 번에 모여서 식사를 할 시간이 없기 때문입니다. (부모의 출퇴근과 아이들의 학원 일정이 잘 맞지 않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각자 시간날 때 언제나 먹기 쉽고 편한 식사를 원합니다.

Evolution of Home Meal Replacements in Korea 한국 가정 간편식의 진화

HMR refers to staple foods or side dishes that don't require customers to go through the cumbersome cooking process. They don't include snacks or desserts. HMRs were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the 1980s with pouches of curry and jjajang (Korean black  bean sauce).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frozen or refrigerated foods like dumplings were unleashed on the market. Up until then, such foods weren't considered proper meals, but people embraced these more convenient foods, arguably at the cost of taste and health. From 2013 to 2014, food companies expanded the variety of products and made them more palatable. They introduced various styles of stew and even exotic dishes from around the world. Since 2015, Korean companies have been trying to meet consumers' demand for tastier and more nutritious food, releasing premium lines of products. Meanwhile, some companies have begun to offer "meal kits" as a fresher alternative.

간편 가정식은 번거로운 조리 과정이 필요 없는 요리나 반찬을 말합니다. 간식이나 디저트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한국에는 봉지 형태로 된 카레와 짜장으로 1980년대에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만두와 같은 냉동 또는 냉장 식품들이 출시되었습니다. 그때까지는 가정 간편식은 제대로 된 식사로 간주되지는 않았고 맛과 건강은 포기하고 단지 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 정도로 받아들여졌습니다. 2013년에서 2014년에 이르는 기간에는 식품 회사들이 제품의 종류를 확장시키고 맛도 개선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국들과 세계 요리들이 출시되었습니다. 2015년 이후에는 소비자들이 더 영양가가 높고 맛있는 음식을 원함에  따라 고급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일부 회사들은 더 건강한 식사를 위한 대안으로써 "밀키트"를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

Korea's growing meal kit market and its prospects 한국 밀키트 시장의 성장과 미래

Unlike ready-made meals that can be eaten after simply being heated, meal kits are packages filled with pre-portioned fresh ingredients necessary to cook a specific dish. Meal kits allow busy people to have a decent home meal without the hassle of going grocery shopping and preparing ingredients. They also lift the burden of choosing what to have for a meal. Growth in Korea's meal kit market reflects the trend that many people are looking for delicious and high-quality food even when they have to eat in a rush. Meal kits are now available at brick-and-mortar retailers, or you can have them delivered to your home regularly.

간단하게 데워서 먹을 수 있는 조리식품과 다르게 밀키트는 특정 요리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신선 재료들이 미리 손질되어 나누어 담겨있는 포장품 형태입니다. 바쁜 사람들도 밀키트를 이용하면 장을 보고 재료를 손질하는 번거로움 없이 제대로 된 가정식을 즐길 수 있습니다. 식사 메뉴를 정해야 하는 부담도 덜게 됩니다. 한국 밀키트 시장의 성장은 많은 사람들이 서둘러 식사를 해야 하는 때조차 맛좋고 고품질의 음식을 원한다는 현실을 반영합니다. 밀키트 제품들은 오프라인 소매점에서도 구매가 가능하고, 정기적으로 집으로 배달시킬 수도 있습니다.

Meal kits from Emart in Korea
The origins of the meal kit business can be traced back to Sweden in 2007, and it quickly spread to other European countries. It took hold in the US around 2012. In Korea, the startup FreshEasy introduced its meal kit delivery service in 2016, and remains number 1 on the market, accounting for about 70% of the market share. With the expanding market, other startups, food retailers, and manufacturers are jumping in the race. The market size is relatively small for now, an estimated 40 billion won, compared with the HMR market of over 3 trillion won. The popularity of meal kit products is expected only to grow, considering an increasing number of single and two-member households in Korea. Those in the industry foresee that the market will grow to 700 billion won by 2024. Nevertheless, some experts are showing concerns about its prospects for several reasons. The first is market saturation, assuming that only a small portion of single and two-member households enjoy the experience of cooking. Also, there are already many players because entry barriers are low enough to create more intense competition. Lastly, the short sell-by date of meal kits makes it harder for the supplier to reduce waste and serves as a disadvantage when competing with HMR.

세계 최초의 밀키트 사업은 2007년 스웨덴에서 시작되어 유럽 국가들로  빠르게 퍼져나갔습니다. 미국에서는 2012년에 도입되어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스타트업인 프레시지(FreshEasy)가 2016년에 밀키트 배송 서비스를 도입해서 현재 밀키트 시장의 70%를 차지하며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다른 스타트업들, 식품 판매사, 제조사들이 경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3조원이나 되는 간편 가정식 시장에 비해서 현재 밀키트 시장은 400억 규모로 추산되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습니다. 그러나 한국에서 1-2인 가구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밀키트 제품의 인기는 상승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시장이 2024년까지 7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봅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몇 가지 이유를 내세워 시장 전망에 우려를 표합니다. 먼저, 1-2인  가구의 일부만이 요리를 즐길 것이기 때문에 수요가 제한적입니다. 그리고 이미 시장에 뛰어든 회사가 많고 진입장벽이 낮아 경쟁이 더 치열해져 결국 시장 포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밀키트의 유통기한이 짧기 때문에 공급업체에서 폐기율 관리가 어렵고 가정 간편식과의 경쟁에서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도 어렵습니다.


**Bold text marks useful English expressions for me.
**볼드체는 제 기준에서 유용한 표현을 표시해둔 것입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타임지 1년 구독해서 영어 공부해보고 공부방법과 장단점 정리해봅니다.

때는 2018년 여름. 영어공부 겸 취미 겸 간간히 New York Times와 TIME지를 사서 읽고 있었다. 사실 국내 뉴스도 신문도 잘 안 보는데 NYT와 TIME이 재미가 있겠느냐...마는 재미가 있었다! 몸은 비록 한국에 있으나, 세계인(Cosmopolitan)이 된 기분이랄까. 물론 슬프고 처참한 내용의 기사들이 많아서 마음아프긴 했지만 다른 나라 사람들과 잠시나마 같은 걱정을 하고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를, 지구를 걱정하며 그릇이 커지는 느낌이었다. (걱정도 같이 커진게 흠...) 어쨌든 그렇게 재미가 붙어서 자꾸 사다 보니 구매에 들이는 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싶었다. TIME지는 주간지 (Weekly Magazine)이고 NYT는 물론 매일 나온다. 둘 다 대형 서점에서 구할 수 있다. (NYT를 영풍문고에서 취급했던 것 같은데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TIME지는 단권이 아마 8,000원 정도 했고 NYT는 훨씬 쌌던 것 같다. 읽을거리 대비 가격도 신문인 New York Times가 더 싸긴 하다. 하지만 차근차근히 읽다보면 대략 일주일은 읽게 되는데, 신문은 종이재질이 좋지 않고 가독성이 떨어지는데다 TIME지 내용이 은근히 깊이있고 (덕분에 더 어려웠지만) 재미있어서 결국 구독하게 되었다. 할인행사로 한거라 80주 정도를 30만원 정도에 구독하게 되었는데 문제는 아직 80주가 안 지났다. 대략 10개월 정도는 TIME를 비교적 꼭꼭 씹어먹었고 그 이후는 TIME지와 내가 원하는 공부방법과 괴리가 좀 생겨서 방 구석에 쌓아두기만 하고 있다. (10개월이면 대충 40주니까.. 매주 정가로 사서 공부한셈 칠 수 있을 것 같다;; 자기합리화;;) 어쨌든 개인적으로 TIME지를 이용해서 영어공부를 해본 후기. 우선 내가 공부한 방법 1. 기사는 내가 호기심 가는 순서로 읽는다. (무조건 순서대로 보다가는 질려서 TIME지 자체가 질려버릴 수 있어서) 2. 사전 찾아보지 않고 읽는다. 3. 잘 모르는 단어는 형광펜 표시 (그 중에

내가 쓴 영어 문장이 자연스러운 표현인지 검증해보기.

국내에서 영어를 배우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자연스러운 표현'를 습득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시중에 나온 영어 공부 자료들이 날로 발전을 거듭하여 원어민들이 자주 쓰는 표현들 중 유용한 것만을 엄선해 놓기도 하지만, formal한 상황에서 써도 되는지 여부라든가 다른 비슷한 표현과의 차이점이라든가 디테일한 부분이 생략된 경우가 많다. 더불어 단어장, 숙어장 개념으로 달달 외운다고 한들 영어 듣기에는 도움될 지 모르나 영어 말하기가 필요한 상황에서 바로 생각이 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보통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영작해보고, 혹은 영어로 글을 쓰는 도중에 표현이 적절한지  이러저러한 방법으로 검증해보고 있다. 영어권 원어민에게 물어보는 편이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이긴 한데,  보통 유료 첨삭을 받거나 지인에게 물어보아야 해서 모두가 쉽게 이용가능한 방법은 아니다. 나도 사실 최근에 내가 쓴 글을 영어권 원어민에게 유료 첨삭을 받고 있기는 한데, 첨삭받기 전 단계에서 스스로 검증해 본 뒤 첨삭 결과와 비교해보는게 기억에 더 오래도록 남아 좋은 것 같다. 내가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1. Ludwig.guru 이 사이트는 일단 해당 표현이 들어간 문장을 검색해준다. 검색되는 문장의 수와 해당 문장의 문맥을 보고서 내가 맞는 표현을 썼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연산자 검색을 통해 두 표현 간의 빈도차이를 볼 수도 있고(ex. late to school VS late for school), 와일드카드를 통해 적당한 전치사나 그 외 단어를 찾아낼 수도 있다.(ex. late * school) 예문 검색의 대상이 영어권 언론지, 학술논문 등 믿을만한 텍스트여서 좋다. 무료로 이용할 경우는 검색 횟수 제한이 있어서 아껴쓰고 있다. 2. 네이버 영어사전 네이버 영어사전의 예문검색 기능도 꽤 쓸만하다. 하지만 예문 검색의 대상이 되는 문헌이 우리나라에서 만든 영어교재인 경우가 많아서 신뢰도는 조

잘못 알고 틀리게 발음하던 영어 단어 정리 (계속 업데이트)

나는 원어민처럼 부드럽게 굴러가는 발음은 바라지도 않는다. 그런데 가끔 눈으로 보고 읽는 영단어 조차도 발음하는 법을 모르거나, 자신있게 틀린 발음으로 말한뒤 뒤늦게 그것이 백번 양보해도 근본없는 엉터리 영어 발음이었다는걸 알게 되면 굉장히 부끄럽고 난감하다. 안다고 생각했던 단어조차 실제 발음이 내 생각과 전혀 달라서 깜짝 놀라기도 한다. 발음을 들어보지 않고 눈으로만 단어를 외우면 이렇게 된다. (아마 많은 한국인들이 나와 같은 실수를 매일 반복하고 있을 것이다.) 이제는 영단어를 찾아볼 때 발음을 꼭 들어보고 영어 발음 기호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정리해두려고 한다. 이미 American English 발음에 익숙해져 있으므로 대중적인 Merriam-Webster 영영사전으로 찾아보기로 했다. 그런데Merriam-Webster에서는 내가 알던 발음 기호(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가 아니라 다른 기호를 쓰고 있기에 우선 기호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 Guide to Pronunciation  참조) 영영사전 속 오디오와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공부해보고 그래도 애매한 것은 Youglish.com에서 실제 발음을 검색하며 공부하려고 한다. 아래 리스트는 내가 정리한 단어 목록인데 나 외에 여러 한국인들이 잘못 알고 발음을 틀리기 쉬운 단어들이 꽤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 공유해본다. (2020. 4. 21. 업데이트)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비교하며 볼 단어 cafe ( café ) / ka-ˈfā / 카페 아니고 캐페이 latte / ˈlä-(ˌ)tā / 라테이 frappe / fra-ˈpā / 프래페이 position / pə-ˈzi-shən / 포지션 아니고 퍼지션 solution / sə-ˈlü-shən / 솔루션 아니고 설루션 report / ri-ˈpȯrt / 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