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oping with the Flu and Bouncing Back (독감에서 회복하다.)

 A few days ago, I wasn’t feeling well, so I decided to leave work a little early. However, even after resting at home, my condition continued to worsen. My headache grew more intense, and my whole body began to ache. Before long, I started feeling chills, despite being indoors. Thinking it might just be because I hadn’t slept well the previous night, I turned on the electric blanket and lay down. By the time evening rolled around, though, my head was pounding, my nose was running, and I felt lightheaded.

며칠 전, 몸이 좋지 않아서 조금 일찍 퇴근하기로 했다. 하지만 집에서 쉬고 나서도 상태가 점점 더 나빠졌다. 두통은 점점 심해지고 온몸이 아프기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집안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한이 느껴졌다. 전날 잠을 잘 못 자서 그런가 싶어 전기장판을 켜고 누웠다. 하지만 저녁 무렵이 되자 머리가 깨질 듯이 아프고, 콧물이 나며 어지러움을 느끼기 시작했다.


I kept asking myself, How can a cold hit this hard? I tried to convince myself it wasn’t anything serious, but the worry lingered. Having had pneumonia before, I couldn’t ignore how the sudden chills and body aches felt uncomfortably familiar. The idea that it might be pneumonia again was unsettling.

감기가 이렇게 심할 수 있나? 라는 생각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다. 별일 아닐 거라고 스스로를 설득하려 했지만, 걱정은 사라지지 않았다. 예전에 폐렴을 앓은 적이 있어서 갑작스러운 오한과 몸살이 익숙한 느낌을 주었다. 다시 폐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불안감을 안겼다.


This image was generated by DALL·E


By the middle of the night, I couldn’t endure it any longer and headed to a nearby emergency room. My temperature was a concerning 38°C (100.4°F), which explained why I felt so awful. Without a thermometer at home, it hadn’t even occurred to me to check my fever earlier. A chest X-ray ruled out pneumonia, but a flu test confirmed I had influenza A. It felt ridiculous and frustrating—how could I catch the flu after getting vaccinated?


밤중이 되자 더 이상 참을 수 없어서 근처 응급실로 갔다. 체온을 재보니 38°C(100.4°F)나 되었고, 그래서 그렇게 기운이 없었던 게 설명이 되었다. 집에 체온계가 없어서 열을 확인할 생각도 하지 못했다. 흉부 X-ray에서는 폐렴이 보이지 않았지만, 독감 검사에서 인플루엔자 A형으로 확진됐다. 독감 예방 접종을 했는데도 독감에 걸리다니, 황당하고 답답한 마음이 들었다.


After several hours of IV fluids and fever medication, I returned home, but the fever was persistent. At one point, it shot up to 40°C (104°F), and I genuinely wondered if things were taking a dangerous turn. Thankfully, a stronger dose of fever medicine finally brought my temperature down. Still, the relentless coughing made it almost impossible to sleep.


몇 시간 동안 수액을 맞고 해열제를 투여받은 후 집으로 돌아왔지만, 열은 좀처럼 내려가지 않았다. 한때 체온이 40°C(104°F)까지 치솟아 정말로 위험한 상황인지 걱정이 들기도 했다. 다행히 더 강한 해열제를 복용한 후에야 체온이 내려갔다. 하지만 끊임없는 기침 때문에 제대로 잠을 자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For three exhausting days, I battled with the fever coming and going. Eventually, I started to feel better. My appetite returned, and I could finally eat normal meals again—upgrading from porridge to regular food and even a few snacks.


3일간 지칠 정도로 열이 오르락내리락하는 날들을 보냈다. 결국 상태가 조금 나아지기 시작했다. 입맛도 돌아오고, 드디어 죽에서 일반 식사로 넘어갈 수 있었다. 심지어 간식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I saw on the news recently that flu cases this year are at their highest since 2016. Apparently, the flu vaccine didn’t align with the strains going around this time. No wonder emergency rooms have been flooded with flu patients.


최근 뉴스를 보니 올해 독감 환자가 201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이번 독감 백신이 유행하는 바이러스와 맞지 않았던 것 같다. 그래서 응급실에 독감 환자들이 몰리고 있는 것도 이상할 게 없었다.


I’m still dealing with occasional coughing, which is a bit frustrating. Those days of being sick took a toll—I lost both weight and muscle. To rebuild my strength, I’ve started exercising again. The older I get, the more I appreciate how much of a blessing good health is—and how it’s one of the greatest joys in life.


아직도 가끔씩 기침이 나서 불편하지만, 아팠던 날들이 몸에 큰 타격을 준 것 같다. 체중과 근육이 모두 줄어들었다. 다시 건강을 되찾기 위해 운동을 시작했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하게 사는 것이 얼마나 큰 축복인지, 그리고 그것이 삶에서 가장 큰 행복 중 하나라는 사실을 점점 더 느끼게 된다.


구어체와 문어체를 구분하고 연습하기 위하여 이번부터는 chatGPT에게 1에서 5까지 점수로 얼마나 문어체에 가까운지 확인해보기로 했다. 이번 글은 4점으로 moderately written English 정도가 되겠다.

On a scale of 1 to 5, where 1 represents strongly spoken English and 5 represents strongly written English, ChatGPT rated this text as a 4.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잘못 알고 틀리게 발음하던 영어 단어 정리 (계속 업데이트)

나는 원어민처럼 부드럽게 굴러가는 발음은 바라지도 않는다. 그런데 가끔 눈으로 보고 읽는 영단어 조차도 발음하는 법을 모르거나, 자신있게 틀린 발음으로 말한뒤 뒤늦게 그것이 백번 양보해도 근본없는 엉터리 영어 발음이었다는걸 알게 되면 굉장히 부끄럽고 난감하다. 안다고 생각했던 단어조차 실제 발음이 내 생각과 전혀 달라서 깜짝 놀라기도 한다. 발음을 들어보지 않고 눈으로만 단어를 외우면 이렇게 된다. (아마 많은 한국인들이 나와 같은 실수를 매일 반복하고 있을 것이다.) 이제는 영단어를 찾아볼 때 발음을 꼭 들어보고 영어 발음 기호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정리해두려고 한다. 이미 American English 발음에 익숙해져 있으므로 대중적인 Merriam-Webster 영영사전으로 찾아보기로 했다. 그런데Merriam-Webster에서는 내가 알던 발음 기호(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가 아니라 다른 기호를 쓰고 있기에 우선 기호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 Guide to Pronunciation  참조) 영영사전 속 오디오와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공부해보고 그래도 애매한 것은 Youglish.com에서 실제 발음을 검색하며 공부하려고 한다. 아래 리스트는 내가 정리한 단어 목록인데 나 외에 여러 한국인들이 잘못 알고 발음을 틀리기 쉬운 단어들이 꽤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 공유해본다. (2020. 4. 21. 업데이트)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비교하며 볼 단어 cafe ( café ) / ka-ˈfā / 카페 아니고 캐페이 latte / ˈlä-(ˌ)tā / 라테이 frappe / fra-ˈpā / 프래페이 position / pə-ˈzi-shən / 포지션 아니고 퍼지션 solution / sə-ˈlü-shən / 솔루션 아니고 설루션 report / ri-ˈpȯ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