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ransitioning into a new job

If you're going to be working in a new position or for a new company, you might be concerned about the time and energy required to adapt to a new working environment. (When I recently began a new position, I certainly was!) New workplaces have particular cultural standards, from their regular etiquette to their dress code. Also, it takes time to understand how typical processes run and how the systems function there. Starting a new job usually requires learning the ins and outs of confusing new software, and even a simple thing like finding a pack of copy paper can be challenging on the first day.


Some aspects of Korean culture seem to make the transition much tougher. When we were children, my generation was taught to obey our teachers and elders. We learned a relatively strict age and social hierarchy. Objecting to someone who entered an organization or came into the world far before you did can brand you as a rude and discourteous person. At work, a boss often gives you a command, rather than a suggestion or direction. Questioning that command is rarely, if ever, acceptable. Some bosses don't even allow employees to ask a simple question. It can be a big problem because if you move to a new company, you may have a lot of questions, and some of them can only be answered by your boss.

Most new employees in Korean companies put themselves in fly-on-the-wall mode for a while. They listen more and ask less. When they face an unsolvable problem, they are encouraged to ask someone barely senior to them (선배, seonbae), who entered the company a year ago, or two at most. The sad truth is that a seonbae often doesn't have the correct information because they also learned from mere observations. This situation is likely to create a vicious cycle. Because new employees have no source of experienced mentorship, every new employee takes an unnecessarily long time to find their footing with their new tasks each year. With better mentors, new employees would be able to hit the ground running much more quickly.

Recently, I started a new position in a new hospital. To make a good impression, I was determined to observe more and ask less in the transition period. I even visited the hospital twice before my official start day to observe things ahead of time. I used my free time to play around with the software in the system and familiarize myself with the processes I would need on the job.

Even though I tried my best to be prepared, the first day was horrible. I felt frustrated because I couldn't even do the simplest thing correctly on the first try. To make matters worse, I couldn't park my car in the hospital's parking garage, and my ID didn't work in the system. There must've been some mistakes in the registration process.

The good thing is that everyone in my team turned out to be so supportive. They are so nice and eager to help that even a slacker would fit in easily. I'm blessed! My work speed isn't quite up to par yet, but I'm gradually settling into a comfortable routine at my new job, thanks to the bosses' and coworkers' guidance. However, I'm trying not to be complacent and lazy. I made a few promises to myself.

1. Keep your chin up and endure the change with a positive attitude.
2. Don't ask a simple question repeatedly. Ask smart questions instead.
3. Don't make any lame excuses. Let your work speak for itself.
4. Always accept happy hour invitations.
5. Be willing to extend a hand to coworkers.

I think having this mindset is a way to repay the kindness that I was given and to be a good team member. Hopefully, it will help our team achieve our bigger goals.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토익 공부 안 하고 한 번에 985점 받은 후기/평소 영어 실력 키우기

공인 영어 시험 성적이 필요하지도 않았는데 작년에 수험료 할인 기회가 있어서 토익 시험을 보았다. 공인 영어 시험은 약 8년만이었다. 토익 점수가 영어 실력과 비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문제풀이 스킬에 의존해서 실제 실력에 비해 고득점을 받을 수도 있고, 점수만 높고 말하기가 전혀 안 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반대로 평소 영어 실력이 좋다면 학원 도움 없이 어렵지 않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1년 정도 일상에서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고 내 실력 변화가 궁금했다. 내 평소 실력을 확인하고 싶어서 문제 유형 확인을 위한 모의고사 1회만 풀어보고 토익 시험에 응시했다. (파트별 문제집이나 학원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나는 30대 중반의 직장인이다. 직장에서는 그닥 영어를 쓸 일이 없다. 이제까지 해외여행을 제외하고 외국에 살아 본 적이 없다. 최근 10년간은 영어 학원에 다닌 적이 없다. +고등학교 시절 1학년때 한 8개월, 3학년 때 2개월 정도 영어 학원에 다녔다. 과외는 받아본 적이 없다. 대학생 때(텝스 990이 만점이던 시절) 텝스 공부를 혼자서 해본 적이있다. 신입생 때 교내 모의 토익을 한 번, 8년전에 취업 서류 제출때문에 공인 토익 시험을 한 번 봤다. 다만, 시험을 보기 전에 1년 정도는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다. 영어를 시험 과목이나 자격증이 필요한 분야보다는 그저 언어로 생각하며 지냈다. 특별한 목표 설정 없이 그저 일상에서 영어를 많이 사용하려고 했는데 자세한 이야기는 뒤에서 하려고 한다. 985 점이 나왔다. 세상에, 나도 놀랐다. Listening part는 사실 안 들리는 부분은 거의 없었다. 다만 내가 영어 시험이란걸 본 지가 오래 되어서 그런지 '와 요새는 보기가 이런식으로 나와?' 하다가 다음 문제를 못 듣고 당황해서 찍은게 몇 개 있었는데 거기서 틀린 것 같다. 아직 운전하며 우리말 라디오 방송 듣듯이 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