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he struggle of young South Koreans in a tough job market


Young South Koreans have recently been facing the worst job crunch in generations. Only a small number of job openings are available, and getting a highly sought-after permanent white-collar job with a decent income is just a pipe dream. 69.6% of 25- to 34-year-olds in South Korea have a college degree, compared with the OECD average of 44.5% of those in the same age group in 2019. In this situation, the idea is reinforced that attaining a college degree is merely one of many hoops to jump through before being hired, and getting into one of the top universities is regarded as an initial advantage. This is the main reason Korean teenagers begin studying for the national university entrance exam as early as 13 or 14, so it is safe to say that Korean students begin preparing to get a job during their middle or high school years. Students attend extracurricular study academies and cram schools for hours each day after their regular classes, dreaming of entering Korea's top-tier univers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often referred to by the acronym "SKY."

한국의 청년들은 최근 유례없는 최악의 구직난에 직면하고 있다. 일자리 수는 매우 제한적이고, 많은 이들이 원하는 꽤 괜찮은 연봉의 정규 사무직을 구하기란 하늘의 별따기이다. 2019년에 OECD 국가들에서 25세에서 34세 사이 평균 대졸자 비율이 44.5%인데 반해 같은 나이대의 한국 청년들 69.6%가 대학 졸업생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 졸업장을 취득하는 것은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거쳐야 할 많은 단계들 중 하나일 뿐이라는 인식이 심화되고, 명문대에 입학하는 것이 출발선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의 10대들은 이르게는 13세, 14세 정도에 대학 입학 시험(수능) 공부를 시작하고, 따라서 한국 학생들은 중학교, 고등학교 시기부터 취업을 준비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생들은 일류 대학에 입학하기를 꿈꾸며 정규 수업이 끝나고도 비정규과목 공부나 시험 성적 향상을 위해 학원에서 매일 몇 시간씩을 보낸다. 그 일류 대학들은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로 종종 앞글자를 따서 스카이(SKY)라고 불린다.

JTBC's K-drama “SKY Castle” centered on Korea's overheated educational system and was a mega hit.
http://tv.jtbc.joins.com/skycastle

However, graduating from a SKY university doesn't even guarantee success in finding a job nowadays. "Even graduate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re unable to find a job" is a common refrain used to describe the dire job market. Job seekers have to accomplish a series of tasks to prove their capacities: securing a high GPA in college, getting good scores on English proficiency tests, earning certificates and other qualifications, and excelling on an aptitude test administered by the company of their choice. Some of the required exams are offered only once or twice a year at most. Students who have to wait another year to take one of the exams prefer to retain their student status until they find a job because it is believed that employers don't like graduates. Many universities allow students to remain enrolled and use college facilities even if they aren't taking any classes. A substantial fraction of that demographic spends a few more years in college, putting their social lives, dating, marriage, and other rites of adulthood on hold until they get their first job.

하지만 요즘에는 SKY 대학교를 졸업한다고 한들 취업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최악의 고용 상황을 가리켜 "서울대학교 졸업생조차 일자리를 찾기 힘들다."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 취업 준비생들은 그들의 능력을 증명하기 위해 일련의 과업을 완수해야만 한다. 대학에서 학점 관리를 하고, 영어 시험에서 높은 성적을 받고, 각종 자격증과 기타 경력을 갖추고 지원하려는 회사에서 주관하는 적성검사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아야만 한다. 요구되는 시험들 중 몇몇은 일년에 한두 번밖에 시행되지 않는다. 그런 시험을 보기 위해 한 해를 더 기다려야 하는 취준생들은 구직을 할 때까지 졸업을 미루려고 하는데, 기업들이 졸업생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많은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수업을 듣지 않아도 학적을  유지하고 학교 시설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취준생들의 상당 수가 취업 전까지  그들의 사회생활, 데이트, 결혼, 이외 성인들이 거쳐야 하는 것들을 제쳐두면서 몇 년을 더 학생으로 지내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existing overqualified job applicants flooding the overcrowded job market, this year is expected to be much harsher on job seekers because of coronavirus. Examinations for certificates and qualifications are being canceled, and dismal economic conditions are forcing companies to reduce job openings. Sadly, this overall trend won't be expected to stop anytime soon.

이미 발 디딜 곳 없는 고용 시장에서 필요 이상의 고학력 지원자들이 넘치는 상황에 더하여 올해는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구직자들에게 특히 힘든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각종 자격증과 경력 인정을 위한 시험들이 취소되고 있고, 암울한 경제 상황 때문에 기업들은 채용을 줄이고 있다. 슬프게도 이러한 전반적인 상황이 근시일내에 해결될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토익 공부 안 하고 한 번에 985점 받은 후기/평소 영어 실력 키우기

공인 영어 시험 성적이 필요하지도 않았는데 작년에 수험료 할인 기회가 있어서 토익 시험을 보았다. 공인 영어 시험은 약 8년만이었다. 토익 점수가 영어 실력과 비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문제풀이 스킬에 의존해서 실제 실력에 비해 고득점을 받을 수도 있고, 점수만 높고 말하기가 전혀 안 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반대로 평소 영어 실력이 좋다면 학원 도움 없이 어렵지 않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1년 정도 일상에서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고 내 실력 변화가 궁금했다. 내 평소 실력을 확인하고 싶어서 문제 유형 확인을 위한 모의고사 1회만 풀어보고 토익 시험에 응시했다. (파트별 문제집이나 학원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나는 30대 중반의 직장인이다. 직장에서는 그닥 영어를 쓸 일이 없다. 이제까지 해외여행을 제외하고 외국에 살아 본 적이 없다. 최근 10년간은 영어 학원에 다닌 적이 없다. +고등학교 시절 1학년때 한 8개월, 3학년 때 2개월 정도 영어 학원에 다녔다. 과외는 받아본 적이 없다. 대학생 때(텝스 990이 만점이던 시절) 텝스 공부를 혼자서 해본 적이있다. 신입생 때 교내 모의 토익을 한 번, 8년전에 취업 서류 제출때문에 공인 토익 시험을 한 번 봤다. 다만, 시험을 보기 전에 1년 정도는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다. 영어를 시험 과목이나 자격증이 필요한 분야보다는 그저 언어로 생각하며 지냈다. 특별한 목표 설정 없이 그저 일상에서 영어를 많이 사용하려고 했는데 자세한 이야기는 뒤에서 하려고 한다. 985 점이 나왔다. 세상에, 나도 놀랐다. Listening part는 사실 안 들리는 부분은 거의 없었다. 다만 내가 영어 시험이란걸 본 지가 오래 되어서 그런지 '와 요새는 보기가 이런식으로 나와?' 하다가 다음 문제를 못 듣고 당황해서 찍은게 몇 개 있었는데 거기서 틀린 것 같다. 아직 운전하며 우리말 라디오 방송 듣듯이 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