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he top 5 reasons why I've been learning English for years.


Since I graduated from high school where my English education ended, I've learned English from time to time, mostly by myself. However, my enthusiasm for learning English in the past twelve years wasn't as intense as it is nowadays. I'd like to share the top five reasons that have kept me on track recently. I hope that they can resonate with other Koreans who often find it hard to stay motivated.

1. Koreans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 English language.

We Koreans are given ten years of English education from 3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Even though our English education in schools has been criticized for its inefficiency, ten years is a long time. Before I began to learn English by myself in my thirties, I already knew a lot of English words thanks to my public education. I was able to read English text, albeit it was with bad pronunciation and a thick Korean accent. I thought, "What if I just put a little more effort into this? Maybe I can use what I already know far more effectively."

2. English-language materials are everywhere; they are your tutors.

When I was little, there weren't many opportunities to get exposure to the English language. My English subject workbooks had cassette tapes, and they were the only way for me to experience an English-language environment. Nowadays, there is the internet, mp3 technology, smartphones, and tablet PCs. In particular, South Korea's internet speed is amazing, and most Koreans have at least one mobile internet device. I also have a smartphone and an iPad. Now, I can easily access English-language videos and audios if I want to. Why not take advantage of this situation? There was no better time to learn English.


3. It broadens your horizon.

Whether it is the English language or another, learning a second language allows you to extend your knowledge. I'm a medical doctor, and it is undeniable that much of the ground-breaking research is published in English, so I usually search for medical knowledge in English. Apart from my career, I can gather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about topics I'm interested in. When I was a regular gym-goer, I used to search for weight-training tips in English. Also, I can access global issues more directly via English than when I use only the Korean language. It changes my viewpoint on the world in a healthier way.


4. It's fun.

Most importantly, learning a language is fun. It's like making a D.I.Y. toy; just unleash your inner child. There is an infinite variety of English words and phrases flooding the internet. They are the materials you need to play with to build your own toys, English sentences. You don't need to make an English sentence from scratch. Using expressions as a prebuilt frame, you can break them apart and swap bits from other phrases. It will be pure pleasure to communicate with English-language speakers via your new skills.


5. You don't need to be perfect from the beginning.

Koreans tend to take an exam-oriented approach to learning English, so they feel pressure to have perfect grammar and pronunciation. However, the primary reason we learn English is to communicate, not to get a perfect score in an English proficiency test. Freaking out over mistakes robs you of any further learning. Babies learn to talk through trial and error. The same method also applies to when adults pick up a new language. In my case, even if I barely managed to make others understand what I wanted to say in English, I would still call it successful communication. Meanwhile, I'm willing to review and correct my English sentences. I think we can achieve a higher goal step by step.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토익 공부 안 하고 한 번에 985점 받은 후기/평소 영어 실력 키우기

공인 영어 시험 성적이 필요하지도 않았는데 작년에 수험료 할인 기회가 있어서 토익 시험을 보았다. 공인 영어 시험은 약 8년만이었다. 토익 점수가 영어 실력과 비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문제풀이 스킬에 의존해서 실제 실력에 비해 고득점을 받을 수도 있고, 점수만 높고 말하기가 전혀 안 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반대로 평소 영어 실력이 좋다면 학원 도움 없이 어렵지 않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1년 정도 일상에서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고 내 실력 변화가 궁금했다. 내 평소 실력을 확인하고 싶어서 문제 유형 확인을 위한 모의고사 1회만 풀어보고 토익 시험에 응시했다. (파트별 문제집이나 학원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나는 30대 중반의 직장인이다. 직장에서는 그닥 영어를 쓸 일이 없다. 이제까지 해외여행을 제외하고 외국에 살아 본 적이 없다. 최근 10년간은 영어 학원에 다닌 적이 없다. +고등학교 시절 1학년때 한 8개월, 3학년 때 2개월 정도 영어 학원에 다녔다. 과외는 받아본 적이 없다. 대학생 때(텝스 990이 만점이던 시절) 텝스 공부를 혼자서 해본 적이있다. 신입생 때 교내 모의 토익을 한 번, 8년전에 취업 서류 제출때문에 공인 토익 시험을 한 번 봤다. 다만, 시험을 보기 전에 1년 정도는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다. 영어를 시험 과목이나 자격증이 필요한 분야보다는 그저 언어로 생각하며 지냈다. 특별한 목표 설정 없이 그저 일상에서 영어를 많이 사용하려고 했는데 자세한 이야기는 뒤에서 하려고 한다. 985 점이 나왔다. 세상에, 나도 놀랐다. Listening part는 사실 안 들리는 부분은 거의 없었다. 다만 내가 영어 시험이란걸 본 지가 오래 되어서 그런지 '와 요새는 보기가 이런식으로 나와?' 하다가 다음 문제를 못 듣고 당황해서 찍은게 몇 개 있었는데 거기서 틀린 것 같다. 아직 운전하며 우리말 라디오 방송 듣듯이 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