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My unhealthy obsession with constant self-improvement

For the past few months, I haven't been living life to the fullest because I've been preoccupied with the idea that I should focus my time on building a better career. I've always been hard-wired to want to "do more" and "do better." It has been a recurring problem in my thirties, something which now haunts me.

최근 몇개월 동안 더 나은 경력을 쌓는 데에 시간을 바쳐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온전한 생활을 하지 못했다. 더 "많이" 그리고 "잘" 해야  한다는 강박에 항상 사로잡혀 있었다. 그건 30대 들어 반복해서 일어나는 문제였고, 지금도 나를 괴롭히고 있다.


I wasn't a self-help enthusiast in my twenties. Looking back at my college years, whenever a semester would end, mindlessly lazing around all day became my routine. Nowadays, I believe every minute should be spent doing something productive, and I want to practice that belief in my daily life. It may be this attitude towards life that has resulted in my well-adjusted mindset to the extremely competitive Korean society.

20대에는 열렬히 자기계발을 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대학 시절을 되돌아보면, 매 학기가 끝날 때마다 온종일 빈둥대는 것이 일과였다. 요즘은 매 시간이 생산적인 일을 하는데에 쓰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일상에서 내 신념을 실천하려고 한다. 아마도 이러한 삶의 태도 덕분에 극도로 경쟁적인 한국 사회에 적응할 수 있게 되었을 것이다.

Whenever I get spare time, rather than enjoy it, I fill it with plans. I get restless and feel guilty if I don't do anything on my day off. Even if I have nothing particular to do on that day, I look for something that I can do to up-skill in some way. I push myself to sit at my desk and learn English or read papers or textbooks. I can't relax without feeling consumed with guilt. If I succumb to my physical need for rest, I turn on the TV and lie down on the sofa. Even then, I have to ignore my inner voice telling me I'm lazy. It sounds something like this typically,

"You're wasting time. While you watch TV and take rest, someone else is publishing a paper in a great journal. Someone else is mastering a foreign language. You're going to fall behind."

나는 시간이 빌 때마다 그 시간을 즐기기 보다는 계획으로 채운다. 쉬는 날에 아무 것도 하지않고 있노라면 안절부절 못 하고 죄책감을 느낀다. 그날에 해야 할 일이 딱히 없더라도, 내 능력 향상을 위해 무언가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는다. 죄책감에 사로잡히지 않고서는 쉴 수가 없다. 쉬고싶은 신체적 욕구에 굴복하는 경우에는, 텔레비전을 켜고 소파에 눕는다. 하지만 그 때조차 나를 게으르다고 말하는 내 마음 속 목소리를 잠재워야만 한다.

"너는 시간을 낭비하고 있어. 너가 텔레비전이나 보고 쉴 동안 누군가는 근사한 저널에 논문을 실을거야. 누군가는 외국어에 능통하게 되겠지. 너는 뒤처지게 될거야."

In recent years, I stopped listening to music while driving; instead, I began listening to English-language radio news to improve my English listening skills. I didn't even allow myself the time to listen to music when I felt down and needed a pick-me-up. Radio news channels are mostly world affairs, so they aren't helpful for my mood. My obsession with being productive doesn't allow me to take time for myself. I even carry a notebook, an iPad, and pens with me in case I get time to kill. I get too caught up in following the rules and guidelines I've imposed on myself; I focus too much on what's possible in the future, rather than savoring the precious present.

최근에는 운전하며 음악을 듣던 것을 중단하였다. 대신에 영어 듣기 실력을 기르기 위해 영어 라디오 뉴스를 듣기 시작했다. 기분이 좋지 않아 활력소가 필요할 때조차 내 자신에게 음악들을 시간을 허락하지 않았다. 라디오 뉴스 채널들은 거의 세계의 중대한 사건들을 다루어 기분전환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생산적이어야 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온전히 나만을 위한 시간을 보낼 수가 없다. 나는 시간이 빌 때를 대비해서 공책, 아이패드, 그리고 펜까지 가지고 다닌다. 소중한 현재를 즐기기 보다는 너무 미래의 가능성에만 중점을 두는 셈이다.

My friends often say that I'm an inspiration because although I've already achieved so much, I keep going. I know my hard work motivates them to do better. However, becoming the ideal version of myself is a fantasy. If I had been a true self-help guru, I would have demonstrated some spectacular and impressive achievements. Obviously, I haven't.

친구들은 나에게서 자극을 받는다고 자주 말하는데, 내가 이만큼 이루고 나서도 계속 노력하기 때문이다. 내 성실함이 친구들이 더 노력하도록 동기부여한다는 것을 나도 안다. 하지만 이상적인 내 자신의 모습을 이루어내기란 환상일 뿐이다. 만일 내가 정말 자기계발의 전문가였다면, 뭔가 화려하고 인상적인 업적으로 입증했을 것이다. 물론, 난 그런 적이 없다.


In reality, I don't feel special; I feel like an ordinary person because I get deflated a lot when I look at people who have achieved more than me. I judge myself for not being in that position, yet. I can be entirely dominated by my insecurities, which is why my obsession with self-improvement stems from the idea that my best is never good enough. In this type of situation, I don't know any other method to gain self-worth but through achieving goals and continuously seeking approval. However, every time I've accomplished something, I immediately compare it against what other people have achieved; I play it down and begin thinking about the next challenge. That's the secret of my constant self-improvement, and it's a very unhealthy habit. Along the way, there are moments when I feel satisfied with my results, but they don't last. With this relentless but short-sighted obsession with personal improvement, I will never be like the great people I admire.

현실에서 나는 내가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그저 평범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나보다 많이 이루어낸 사람들을 볼 때마다 스스로 작아지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여태 그 자리에 올라서지 못한 나 자신을 나무란다. 불안감에 지배당하기도 하고, 그 때문에 내 최선의 모습도 충분하지 않다는 생각에서 자기계발에 대한 강박관념이 시작된다. 이런 상황에서 자존감을 찾는 방법으로 목표를 이루어내고 끊임없이 인정받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을 모른다. 하지만 항상 무엇인가를 해내고 나면, 곧바로 다른 사람들이 성취한 것에 비교를 한 뒤 내 성과를 깎아내리고 다음 과제를 생각하기 시작한다. 이게 바로 내가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비법이고 절대로 건강하지 않은 습관이다. 그 과정에서 결과에 만족스러워 하는 순간들도 있지만 오래 가지는 않는다. 이 집요하지만 근시안적인 자기계발 강박 때문에 내가 우러러보는 위대한 사람들처럼 될 수가 없다.

Now, I'm determined to choose a different path. Pushing boundaries to be like someone else is not the way of living life. Instead, I'm going to pat myself on the back and take time to appreciate what I've been through to get to where I am now. Before setting a goal, I'll ask myself, "Is that what you want? What is the most satisfying choice for you right now?" Approval from others won't guarantee my happiness; only I can do that. Going after what I want is what matters. I'm still scared of falling behind, however, what's the point of improving if I'm not enjoying myself along the way? As a first step, I'll make a compromise between what this competitive society expects from me and what I love to do, and I'm resolved not to feel guilty about this choice. I don't need any excuse to pursue my happiness.

이제 나는 다른 길을 택하기로 마음먹었다. 다른 누군가처럼 되기 위해서 한계를 밀어붙이는 것은 제대로 된 삶을 사는게 아니다. 그보다는 내 자신을 다독여주고 지금 내 자리에 오기위해 내가 해낸 것들을 인식하고 인정해주려고 한다. 목표를 정하기 전에는 내 자신에게 물을 것이다. "이게 너가 원하는 게 맞아? 바로 지금 가장 만족스러운 결정이 뭔데?" 남에게서 인정을 받는다고 해서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다. 행복은 내가 만드는 것이다. 내가 원하는 것을 따라가는 것이 중요하다. 아직 뒤처질까봐 겁이 나지만, 내가 즐기지 못하면서 자기계발하는 것이 무슨 소용인가? 일단은 경쟁적인 이 사회가 나에게 요구하는 것과 내가 정말 하고 싶은 것 사이에서 타협점을 찾으려고 한다. 그리고 그 결정에 대해서 죄책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내 행복을 추구하는데에 그 어떠한 변명도 할 필요가 없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잘못 알고 틀리게 발음하던 영어 단어 정리 (계속 업데이트)

나는 원어민처럼 부드럽게 굴러가는 발음은 바라지도 않는다. 그런데 가끔 눈으로 보고 읽는 영단어 조차도 발음하는 법을 모르거나, 자신있게 틀린 발음으로 말한뒤 뒤늦게 그것이 백번 양보해도 근본없는 엉터리 영어 발음이었다는걸 알게 되면 굉장히 부끄럽고 난감하다. 안다고 생각했던 단어조차 실제 발음이 내 생각과 전혀 달라서 깜짝 놀라기도 한다. 발음을 들어보지 않고 눈으로만 단어를 외우면 이렇게 된다. (아마 많은 한국인들이 나와 같은 실수를 매일 반복하고 있을 것이다.) 이제는 영단어를 찾아볼 때 발음을 꼭 들어보고 영어 발음 기호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정리해두려고 한다. 이미 American English 발음에 익숙해져 있으므로 대중적인 Merriam-Webster 영영사전으로 찾아보기로 했다. 그런데Merriam-Webster에서는 내가 알던 발음 기호(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가 아니라 다른 기호를 쓰고 있기에 우선 기호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 Guide to Pronunciation  참조) 영영사전 속 오디오와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공부해보고 그래도 애매한 것은 Youglish.com에서 실제 발음을 검색하며 공부하려고 한다. 아래 리스트는 내가 정리한 단어 목록인데 나 외에 여러 한국인들이 잘못 알고 발음을 틀리기 쉬운 단어들이 꽤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 공유해본다. (2020. 4. 21. 업데이트)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비교하며 볼 단어 cafe ( café ) / ka-ˈfā / 카페 아니고 캐페이 latte / ˈlä-(ˌ)tā / 라테이 frappe / fra-ˈpā / 프래페이 position / pə-ˈzi-shən / 포지션 아니고 퍼지션 solution / sə-ˈlü-shən / 솔루션 아니고 설루션 report / ri-ˈpȯ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