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Daily log: after moving into a new home 새 집으로 이사를 하고 나서

I began living on my own a few years ago, moving far from my parent's home. However, I go to my parent's home almost every weekend since the neighboring area is where I spent many years, and the only place where I can truly recharge myself. That's the place I can enjoy my favorite foods, go to places I love, and meet my closest friends. To me, home is where the heart is just as well as where I live. That's why I call my parent's home my true home. If I'm going to visit my parents, I'm going home, and if I'm returning to my place, I'm also going home.

몇 년 전부터 부모님 집에서 멀리 따로 떨어져 사는 중이다. 하지만 거의 매 주말 부모님댁으로 가는데, 왜냐하면 그 동네는 내가 오랫동안 살던 곳이고 나 자신을 재충전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기 때문이다. 내가 좋아하는 음식을 먹고, 좋아하는 곳을 갈 수 있고, 친한 친구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나에게 집이란 내가 사는 곳이기도 하지만 내 마음이 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부모님댁에 가면서 집에 간다고 하지만, 내가 사는 곳으로 돌아가면서도 집에 간다고 표현한다.


Recently, my parents moved into a new home. I was going to help my parents on moving day. Even though a moving company was supposed to help us pack and move our stuff, there were many other things to be taken care of, so my parents needed a hand. However, my day-off was cancelled due to a complicated situation at work. I visited the new home a few days later, feeling regretful for not having helped.

최근 부모님이 이사를 하셨다. 원래 이사하는 날 부모님을 도와드리기로 되어 있었다. 이삿짐 센터에서 짐을 싸고 옮기는 것을 도와주겠지만 신경써야 할 다른 여러가지가 더 있기에 부모님이 일손을 필요로 하셨다. 하지만 직장에서 복잡한 사정이 생겨서 내 휴가가 취소되었다. 며칠 뒤 불편한 마음으로 새 집을 방문하였다.

After organizing a few things that were still in disorder, I was able to look closer at every corner of our new home. The building was old but the inside seemed to have been recently refurbished. It was much cleaner and more spacious than our previous home. However, I hesitated to call it "home." It was more like someone's place I had rented through Airbnb. My heart was yet lingering on the memory of our previous place. Feeling such unfamiliarity in the new home, I wanted to relive and appreciate my memories of our previous home and the neighborhood it had been in.

아직 정리되지 않은 몇 가지를 마저 치우고 나서, 새 집의 구석구석을 살펴볼 수 있었다. 건물은 오래되었지만 내부는 최근에 새로 꾸민 것 같았다. 이전에 살던 집보다 훨씬 더 깨끗하고 넓었다. 하지만 이곳을 "집"이라고 칭하기에는 망설여졌다. 뭐랄까 그보다는 에어비엔비를 통해 빌린 다른 사람의 집이라고 느껴졌다. 내 마음은 아직 옛 집의 기억속에서 머물고 있었다. 새 집에서 낯선 느낌을 받고서는 옛 집과 그 주변에 대한 추억을 돌이켜보고 감상하고 싶었다.


However, at that moment, I had some difficulty recalling the vivid images of the place where we used to live, even though I had been there only a week before. I pulled out my phone and scrolled through the photo album to take a trip back in time. There was nothing that was able to help me hold on to my memories. I regretted not taking more photos of the place. I began to feel sentimental. I realized I had a strong attachment to that former home. At the same time, I realized the importance of recording my life through photos and videos. It felt like a large part of my life had vanished in the blink of an eye. I had nothing to remind me of where I had eaten, slept, and where I had spent joyful times with my family. It seemed that I had said goodbye to the place and also to my precious memories. The timeline of our lives is filled with people and places we love. Without preserving our memories into records, we will eventually lose a grip on our past. How forgetful humans are! From now on, I'll record little moments that are precious but could be easily forgotten.

하지만, 그 순간 우리가 살던 옛 집이 생생하게 기억나지 않았다. 불과 일주일 전에도 그곳에 있었는데도 말이다. 나는 예전 기억을 더듬어보기 위해 휴대전화를 꺼내 사진첩을 넘겨보았다. 하지만 내가 기억을 붙잡게 도와줄 그 어떠한 것도 남아있지 않았다. 사진을 많이 찍어두지 않은 것이 후회스러웠다. 나는 감정이 뭔가 요동치는 것을 느꼈다. 옛 집에 대해 강한 애착이 있었던 것이다. 동시에 나는 내 삶을 사진과 영상으로 남겨놓는 것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눈 깜짝할 사이에 내 삶의 큰 부분이 사라져 버린 것만 같았다. 내가 어디에서 먹고, 자고 가족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냈는지 떠올리게 해줄 것이 아무것도 없었다. 내가 살던 장소 뿐 아니라 내 소중한 추억에게도 작별을 고한 것만 같았다. 우리 삶의 흐름은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장소들로 채워진다. 우리의 추억을 기록으로 남겨놓지 않으면, 과거에 대한 기억의 끈을 놓치고 말 것이다. 정말 쉽게 잊게 되는구나. 지금부터라도 소중하지만 쉽게 잊혀질 수 있는 작은 순간들을 기록해야겠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잘못 알고 틀리게 발음하던 영어 단어 정리 (계속 업데이트)

나는 원어민처럼 부드럽게 굴러가는 발음은 바라지도 않는다. 그런데 가끔 눈으로 보고 읽는 영단어 조차도 발음하는 법을 모르거나, 자신있게 틀린 발음으로 말한뒤 뒤늦게 그것이 백번 양보해도 근본없는 엉터리 영어 발음이었다는걸 알게 되면 굉장히 부끄럽고 난감하다. 안다고 생각했던 단어조차 실제 발음이 내 생각과 전혀 달라서 깜짝 놀라기도 한다. 발음을 들어보지 않고 눈으로만 단어를 외우면 이렇게 된다. (아마 많은 한국인들이 나와 같은 실수를 매일 반복하고 있을 것이다.) 이제는 영단어를 찾아볼 때 발음을 꼭 들어보고 영어 발음 기호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정리해두려고 한다. 이미 American English 발음에 익숙해져 있으므로 대중적인 Merriam-Webster 영영사전으로 찾아보기로 했다. 그런데Merriam-Webster에서는 내가 알던 발음 기호(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가 아니라 다른 기호를 쓰고 있기에 우선 기호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 Guide to Pronunciation  참조) 영영사전 속 오디오와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공부해보고 그래도 애매한 것은 Youglish.com에서 실제 발음을 검색하며 공부하려고 한다. 아래 리스트는 내가 정리한 단어 목록인데 나 외에 여러 한국인들이 잘못 알고 발음을 틀리기 쉬운 단어들이 꽤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 공유해본다. (2020. 4. 21. 업데이트)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비교하며 볼 단어 cafe ( café ) / ka-ˈfā / 카페 아니고 캐페이 latte / ˈlä-(ˌ)tā / 라테이 frappe / fra-ˈpā / 프래페이 position / pə-ˈzi-shən / 포지션 아니고 퍼지션 solution / sə-ˈlü-shən / 솔루션 아니고 설루션 report / ri-ˈpȯ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