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한국 사람들이 복합 쇼핑몰에 가는 이유 Why do Koreans go to malls?

Modern-day office workers are spending most of their time either at home or at work. Along the way, they tend to run out of steam. People need to unwind and relax, but staying home is not always the answer. Going to the same cafe or bar over and over again can feel really mundane, and it's far-fetched to go on a vacation every few months to recharge your batteries. With a limited amount of time on weekends, Koreans are tending to choose 'all-in-one' shopping malls as their destinations for quick trips. Going to these malls doesn't require much planning, so it can be spontaneous and fun. Sometimes, people head to the mall for more practical reasons, like escaping scorching summer heat, freezing winter weather, or fine dust pollution.

현대의 직장인들은 집 또는 직장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그러다 점점 기력을 잃어간다. 일을 내려놓고 긴장을 풀어야 하기는 하지만 그저 집에서 쉬는 것이 항상 정답인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같은 카페나 바를 계속 방문하는 것은 재미가 없고, 재충전을 위해 몇 달마다 휴가를 가는 것은 꿈만 같은 일이다. 그렇게 주말이란 제한된 시간이 주어지면, 한국 사람들은 복합 쇼핑몰으로 짧은 여행을 떠난다. 쇼핑몰로의 외출은 거창한 계획도 필요 없어서 마음내킬 때 즉흥적으로 가면 되는 즐거운 경험이다. 때로는 땡볕 더위나 한파, 미세먼지를 피해서 현실적인 이유로 쇼핑몰에 가기도 한다.

From Pixabay.com
In the past, traditional department stores were simply a collection of clothing and accessory stores, along with only a few places to eat. I used to go there only when I needed to shop for something. However, recently built shopping malls offer amenities, experiences, and entertainment to enhance the shopping experience. The developers put restaurants, bars, concert venues, cinemas, sports leisure facilities, and beauty salons all under one roof. Such all-in-one malls are popping up throughout the country. Even department stores have turned some of their spaces into entertainment and dining venues in an effort to stay relevant. The retail sector is hoping to draw more shoppers into stores and induce actual purchases this way. Their approach reflects the current trend that consumers are placing a high priority on experiences, preferring to spend their money on experiences rather than merely on material things. Today's shoppers are looking for more than what's already available online. They want an experience.

과거에 전통적인 백화점의 형태는 단순히 옷 가게, 액세서리 가게들이 소수의 식당과 함께 모여있는 것이었다. 나는 무엇인가 살 것이 있을 때만 백화점에 갔다. 하지만 최근에 지어진 쇼핑몰들은 편의시설, 다양한 경험과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쇼핑 경험을 한 차원 더 끌어 올린다. 개발 회사들은 레스토랑, 바, 공연 시설, 영화관, 레저 시설, 미용실을 한 건물 안에 다 포함시킨다. 그러한 형태의 복합 쇼핑몰들이 전국 각지에 생겨나고 있다. 백화점들 또한 뒤처지지 않기 위해 공간 일부를 엔터테인먼트와 음식점들을 위한 공간으로 바꾸고 있다.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단순히 물질적인 것 보다는 더 좋은 경험에 돈을 쓰려는 최근 경향을 반영한 전략이다.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단순히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가능한 것을 오프라인에서 찾으려고 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더 나은 경험을 원한다.

From Pixabay.com
At a glance, shopping malls' new strategy seems successful. Malls are becoming the go-to place for groups of friends who haven't seen each other for a long time, for families who want to go out for a simple lunch or a fancy dinner, and for lovers who want to unwind inside a coffee shop and just talk. Environmental psychologist Paco Underhill wrote in Why We Buy: The Science of Shopping that the amount of time a shopper spends in a store is perhaps the singl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how much they buy. However, people's shopping patterns are changing. It was reported that a substantial fraction of consumers go to malls only to eat out. Personally, I like going to malls to enjoy some amazing multi-cuisine and continental dining choices, but after my meal, I usually just walk around and enjoy window shopping. If I come across a product that catches my eye, I check the price online. More often than not, an online retailer can beat the in-store price, so I end up making the purchase online. If shopping malls and their brick-and-mortar retailers want to remain sustainable, they need to do more than just provide experiences. They might want to offer shoppers better reasons to prefer making purchases in physical stores.

일견 보기에 복합 쇼핑몰들의 이 새로운 전략은 성공적으로 보인다. 오랜만에 친구들을 만나는 사람들, 간단한 점심 또는 고급스러운 저녁식사를 찾아 외식을 하려는 가족, 커피숍에서 긴장을 풀고 이야기를 나누려는 연인들이 모두 복합 쇼핑몰을 찾고 있다. 환경 심리학자 Paco Underhill은 자신의 저서 Why We Buy: The Science of Shopping 에서 매장 안에서 고객이 보내는 시간이 소비액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사람들의 쇼핑 패턴은 변하고 있다. 상당한 수의 소비자들이 단순히 외식을 위해 복합 쇼핑몰을 찾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 나 또한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스타일의 요리를 맛보기 위해 쇼핑몰에 가지만 식사 후에는 그저 실질적인 구매 없이 매장을 구경할 뿐이다. 만약 관심이 가는 물건을 발견하면, 온라인에서 가격을 확인해본다. 대개는 온라인 가격이 매장 가격보다 저렴해서 온라인으로 구매를 하게 된다. 복합 쇼핑몰과 오프라인 매장들이 이윤을 지속적으로 내려면 단순히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는 부족해보인다.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를 할 수 밖에 없는 다른 이유를 제공해줘야 할 것이다.

**Bold text marks useful English expressions for me.
**볼드체는 제 기준에서 유용한 표현을 표시해둔 것입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토익 공부 안 하고 한 번에 985점 받은 후기/평소 영어 실력 키우기

공인 영어 시험 성적이 필요하지도 않았는데 작년에 수험료 할인 기회가 있어서 토익 시험을 보았다. 공인 영어 시험은 약 8년만이었다. 토익 점수가 영어 실력과 비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문제풀이 스킬에 의존해서 실제 실력에 비해 고득점을 받을 수도 있고, 점수만 높고 말하기가 전혀 안 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반대로 평소 영어 실력이 좋다면 학원 도움 없이 어렵지 않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1년 정도 일상에서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고 내 실력 변화가 궁금했다. 내 평소 실력을 확인하고 싶어서 문제 유형 확인을 위한 모의고사 1회만 풀어보고 토익 시험에 응시했다. (파트별 문제집이나 학원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나는 30대 중반의 직장인이다. 직장에서는 그닥 영어를 쓸 일이 없다. 이제까지 해외여행을 제외하고 외국에 살아 본 적이 없다. 최근 10년간은 영어 학원에 다닌 적이 없다. +고등학교 시절 1학년때 한 8개월, 3학년 때 2개월 정도 영어 학원에 다녔다. 과외는 받아본 적이 없다. 대학생 때(텝스 990이 만점이던 시절) 텝스 공부를 혼자서 해본 적이있다. 신입생 때 교내 모의 토익을 한 번, 8년전에 취업 서류 제출때문에 공인 토익 시험을 한 번 봤다. 다만, 시험을 보기 전에 1년 정도는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다. 영어를 시험 과목이나 자격증이 필요한 분야보다는 그저 언어로 생각하며 지냈다. 특별한 목표 설정 없이 그저 일상에서 영어를 많이 사용하려고 했는데 자세한 이야기는 뒤에서 하려고 한다. 985 점이 나왔다. 세상에, 나도 놀랐다. Listening part는 사실 안 들리는 부분은 거의 없었다. 다만 내가 영어 시험이란걸 본 지가 오래 되어서 그런지 '와 요새는 보기가 이런식으로 나와?' 하다가 다음 문제를 못 듣고 당황해서 찍은게 몇 개 있었는데 거기서 틀린 것 같다. 아직 운전하며 우리말 라디오 방송 듣듯이 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