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trillion won ($840 million). That's the value of the transactions made through KakaoTalk's mobile gift service in 2017. Kakaotalk is the number one mobile messenger app in Korea. Other than messages and emoji, users can also send a gift or mobile gift voucher with a couple of taps. According to a report by Kakao, the developer of the app, an average of 200,000 gift items were purchased per day, and a total of 17 million users used the service in 2017. Industry insiders estimated that transactions totaled about 2 trillion won in 2018 and 3 trillion in 2019. Thanks to skyrocketing sales, Kakao took hold in the e-commerce market.
1조원. 2017년에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통해 거래된 금액입니다. 카카오톡은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바일 메신저 어플입니다. 메세지와 이모티콘은 물론이고 사용자들은 몇 번의 터치만으로 선물이나 모바일 상품권도 보낼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의 개발업체인 카카오의 공개 자료에 따르면, 2017년에 하루 평균 20만개의 선물이 판매가 되었고, 한 해 동안 1700만명의 사용자들이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했다고 합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2018년에는 거래액이 2조원에, 2019년에는 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엄청난 판매 덕에 카카오는 이커머스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게 되었습니다.
Many people aren't surprised about the mobile gift service's huge success because almost every smartphone user in Korea uses KakaoTalk for everyday communication with friends, family, and even coworkers. However, the massive user base is not the only reason the service became a hit. It seems that its popularity has come from the synergy between Kakao's innovative strategies and the unique gift-giving culture in Korea.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친구, 가족, 심지어 직장 동료와도 카카오톡으로 메세지를 주고 받기 때문에 선물하기 기능의 큰 성공은 놀랄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단순하게 엄청난 사용자 수 덕분에 성공한 것은 아닙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가 큰 인기를 끌게 된 것은 카카오의 혁신과 더불어 한국 사람들의 독특한 선물 주고받기 문화덕분인 것으로 보입니다.
The unique gift-giving culture in Korea
On the one hand, Koreans are some of the most generous and giving people in the world. We enjoy giving gifts and sharing things, not just on special occasions. On the other hand, reciprocity is socially mandated. If someone has given more in the form of a gift, meal, or service, the recipient is required to show a commensurate response at one time or another. Koreans are good at keeping score. For example, if a group of people have dinner together and someone insists on paying the bill, there is an implied obligation to meet again later in order to repay the kindness. The same situation occurs over and over again because this ongoing reciprocity cannot reach equilibrium. Because of this expectation, gift-giving serves as an important mechanism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relationships in Korea.
한국인들은 인정이 많고 베푸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단지 특별한 날에 한해서가 아니라 항상 선물을 주고 뭔가를 나누는 것을 즐깁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에 보답하는 것이 당연시됩니다. 만약 한 사람이 선물이나 식사, 어떤 노력의 형태로 더 베풀게 되면, 받는 사람도 언젠가는 상응하는 보답을 해야만 합니다. 한국 사람들은 은혜를 입은 것을 잘 기억합니다. 예를 들면, 여럿이서 식사를 한 뒤에 누군가 식사비를 내겠다고 하면, 다음에 다시 만나 그 은혜를 갚아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같이 주고 받으며 보답하는 일이 어느 한 쪽에서 끝날 수 없기 때문에 비슷한 상황이 몇 번이고 반복됩니다. 이런 상황이 흔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선물하기는 사람들간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KakaoTalk's mobile gifting is tapping into the reciprocal gift-giving culture
Another notable advantage of the KakaoTalk gift service is that it is based on a casual communication channel—internet messenger. Users can casually send gifts through the messenger, so gift-giving can happen during everyday online chats. This lowers the emotional barrier for people to make up their minds before sending a gift. The app's recent addition of a "Friends with Birthdays" section enables users to keep track of their friends' and family members' birthdays. The section appears at the top of the app's friends list as a "nudge" that encourages people to buy birthday gifts.
카카오톡을 통한 선물하기의 또 한가지 이점은, 이 기능이 인터넷 메신저라는 사람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통신수단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사용자들이 메신저를 통해 격식을 차리지 않고도 편하게 선물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일상적인 온라인 채팅에서 선물을 주고받게 됩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사람들은 선물을 보내는 행위에 대해 심리적 부담을 덜게 됩니다. 최근 추가된 "생일인 친구 알림" 기능은 사용자들이 친구와 가족들의 생일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알림은 친구 목록의 가장 상단에 표시되어 "넛지(nudge
)"로 작용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생일 선물을 준비하도록 유도합니다.
All these features turn users of the messenger into spenders, and people receiving gifts tend to reciprocate within the app. KakaoTalk's innovation reinforces reciprocal gifting, so sales are soaring as a result of users nurturing their relationships on the platform.
이 모든 특징들이 메신저 사용자들에게 구매를 유도하고, 선물을 받은 사람들도 어플 내부에서 선물에 보답을 하게 됩니다. 카카오톡은 혁신을 통해 보답하는 문화를 촉진하고 이용자들이 이 플랫폼에서 인맥을 관리함에 따라 판매량은 급증하게 됩니다.
Is mobile gifting enough to make someone feel special?
모바일 선물하기는 어느새 적당한 비용으로 누군가에게 우정이나 애정을 표하는 좋은 방법이 되었습니다. 보고에 따르면, 이용자들은 대부분 5,000원에서 10,000원 사이의 가격대에서 구매를 하며 가장 잘 팔리는 상품은 커피나 아이스크림 교환 상품권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대개 시간이 없어 잘 만나지 못하는 친구나 가족, 사랑하는 이에게 이러한 상품들을 안부인사로서 보냅니다. 때로는 남에게서 도움을 받은 뒤 감사의 표시로 교환권을 보내기도 합니다.
I used to think that mobile gifting was a brilliant way to convey a heartfelt message. However, giving and taking mobile vouchers for coffee and ice cream is now becoming too commonplace. They are losing novelty and becoming cliché. Often, they are seen as a convenient and half-hearted "sorry" for not being fully committed to a relationship. In my opinion, if we want to show someone that we sincerely care, giving mobile vouchers through a messenger app should only be considered as a last resort.
저는 모바일 선물이 진심 어린 메시지를 전하는 기막힌 방법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커피와 아이스크림 교환권을 주고 받는 일이 너무 흔해져버렸습니다. 이제는 그리 신기할 것도 없고 진부해져버렸습니다. 모바일 상품권을 보내는 것은 종종 관계에 진심을 쏟지 않는 대신에 보내는 편리하고 성의없는 "사과"로 비추어지기도 합니다. 만약 우리가 누군가에게 진심을 전하고 싶다면 메신저로 모바일 교환권을 보내는 것은 어쩔 수 없을 때에만 쓰는 마지막 수단으로 해야 할 것입니다.
Reference
1) https://1boon.kakao.com/ppss/5beb84d3ed94d20001b0e891
2) https://news.joins.com/article/23549706
1조원. 2017년에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통해 거래된 금액입니다. 카카오톡은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바일 메신저 어플입니다. 메세지와 이모티콘은 물론이고 사용자들은 몇 번의 터치만으로 선물이나 모바일 상품권도 보낼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의 개발업체인 카카오의 공개 자료에 따르면, 2017년에 하루 평균 20만개의 선물이 판매가 되었고, 한 해 동안 1700만명의 사용자들이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했다고 합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2018년에는 거래액이 2조원에, 2019년에는 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엄청난 판매 덕에 카카오는 이커머스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게 되었습니다.
Many people aren't surprised about the mobile gift service's huge success because almost every smartphone user in Korea uses KakaoTalk for everyday communication with friends, family, and even coworkers. However, the massive user base is not the only reason the service became a hit. It seems that its popularity has come from the synergy between Kakao's innovative strategies and the unique gift-giving culture in Korea.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친구, 가족, 심지어 직장 동료와도 카카오톡으로 메세지를 주고 받기 때문에 선물하기 기능의 큰 성공은 놀랄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단순하게 엄청난 사용자 수 덕분에 성공한 것은 아닙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가 큰 인기를 끌게 된 것은 카카오의 혁신과 더불어 한국 사람들의 독특한 선물 주고받기 문화덕분인 것으로 보입니다.
The unique gift-giving culture in Korea
한국의 독특한 선물 문화
On the one hand, Koreans are some of the most generous and giving people in the world. We enjoy giving gifts and sharing things, not just on special occasions. On the other hand, reciprocity is socially mandated. If someone has given more in the form of a gift, meal, or service, the recipient is required to show a commensurate response at one time or another. Koreans are good at keeping score. For example, if a group of people have dinner together and someone insists on paying the bill, there is an implied obligation to meet again later in order to repay the kindness. The same situation occurs over and over again because this ongoing reciprocity cannot reach equilibrium. Because of this expectation, gift-giving serves as an important mechanism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relationships in Korea.한국인들은 인정이 많고 베푸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단지 특별한 날에 한해서가 아니라 항상 선물을 주고 뭔가를 나누는 것을 즐깁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에 보답하는 것이 당연시됩니다. 만약 한 사람이 선물이나 식사, 어떤 노력의 형태로 더 베풀게 되면, 받는 사람도 언젠가는 상응하는 보답을 해야만 합니다. 한국 사람들은 은혜를 입은 것을 잘 기억합니다. 예를 들면, 여럿이서 식사를 한 뒤에 누군가 식사비를 내겠다고 하면, 다음에 다시 만나 그 은혜를 갚아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같이 주고 받으며 보답하는 일이 어느 한 쪽에서 끝날 수 없기 때문에 비슷한 상황이 몇 번이고 반복됩니다. 이런 상황이 흔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선물하기는 사람들간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 |
I received a Starbucks voucher with a cute thank you card. |
KakaoTalk's mobile gifting is tapping into the reciprocal gift-giving culture
카카오톡 선물하기, 한국인의 보답 문화를 이용하다.
The introduction of KakaoTalk's mobile gifting made reciprocal gifting much easier. First, it simplified the process, from choosing the right item to purchasing and delivering the gift. If you open the gift function on the app, there are lists of recommended gifts according to the occasion and the age group of the receiver. Mobile payment is also quick and easy. If you want to have the gift delivered to the receiver, you don't need to go through the awkwardness of asking them for their address. The gift-sending service delivers the gift when the recipient enters their address.
카카오톡의 선물하기 기능은 선물 보답을 훨씬 더 쉽게 만들었습니다. 일단 적당한 상품을 고르고 결제하여 배달시키는 과정을 단순하게 만들었습니다. 카카오톡에서 선물하기 기능을 실행시키면, 받는 사람의 연령대와 선물을 주는 상황에 맞는 추천 상품들의 목록이 나옵니다. 모바일 결제도 쉽고 빠릅니다. 만약 선물을 누군가에게 배달하고 싶으면, 어색하게 받는 사람에게 주소를 물어볼 필요가 없습니다. 수신자가 주소를 입력하고 나면 선물이 발송됩니다.
Another notable advantage of the KakaoTalk gift service is that it is based on a casual communication channel—internet messenger. Users can casually send gifts through the messenger, so gift-giving can happen during everyday online chats. This lowers the emotional barrier for people to make up their minds before sending a gift. The app's recent addition of a "Friends with Birthdays" section enables users to keep track of their friends' and family members' birthdays. The section appears at the top of the app's friends list as a "nudge" that encourages people to buy birthday gifts.
카카오톡을 통한 선물하기의 또 한가지 이점은, 이 기능이 인터넷 메신저라는 사람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통신수단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사용자들이 메신저를 통해 격식을 차리지 않고도 편하게 선물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일상적인 온라인 채팅에서 선물을 주고받게 됩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사람들은 선물을 보내는 행위에 대해 심리적 부담을 덜게 됩니다. 최근 추가된 "생일인 친구 알림" 기능은 사용자들이 친구와 가족들의 생일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알림은 친구 목록의 가장 상단에 표시되어 "넛지(nudge
)"로 작용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생일 선물을 준비하도록 유도합니다.
All these features turn users of the messenger into spenders, and people receiving gifts tend to reciprocate within the app. KakaoTalk's innovation reinforces reciprocal gifting, so sales are soaring as a result of users nurturing their relationships on the platform.
이 모든 특징들이 메신저 사용자들에게 구매를 유도하고, 선물을 받은 사람들도 어플 내부에서 선물에 보답을 하게 됩니다. 카카오톡은 혁신을 통해 보답하는 문화를 촉진하고 이용자들이 이 플랫폼에서 인맥을 관리함에 따라 판매량은 급증하게 됩니다.
![]() |
Gift function on KakaoTalk app. |
Is mobile gifting enough to make someone feel special?
모바일 선물이 마음을 전하는데 충분할까?
Mobile gifts have quickly become an inexpensive way to send someone a token of friendship or affection. According to the report, the most popular price range is between 5,000 and 10,000 won ($4–$8), and the best-selling items are mobile vouchers for coffee and ice cream. Generally, these items are sent as casual gifts to friends or loved ones, symbolizing a greeting when people don't have time to meet and catch up. Sometimes people send them as a symbol of gratitude after they've received some help from others.
모바일 선물하기는 어느새 적당한 비용으로 누군가에게 우정이나 애정을 표하는 좋은 방법이 되었습니다. 보고에 따르면, 이용자들은 대부분 5,000원에서 10,000원 사이의 가격대에서 구매를 하며 가장 잘 팔리는 상품은 커피나 아이스크림 교환 상품권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대개 시간이 없어 잘 만나지 못하는 친구나 가족, 사랑하는 이에게 이러한 상품들을 안부인사로서 보냅니다. 때로는 남에게서 도움을 받은 뒤 감사의 표시로 교환권을 보내기도 합니다.
I used to think that mobile gifting was a brilliant way to convey a heartfelt message. However, giving and taking mobile vouchers for coffee and ice cream is now becoming too commonplace. They are losing novelty and becoming cliché. Often, they are seen as a convenient and half-hearted "sorry" for not being fully committed to a relationship. In my opinion, if we want to show someone that we sincerely care, giving mobile vouchers through a messenger app should only be considered as a last resort.
저는 모바일 선물이 진심 어린 메시지를 전하는 기막힌 방법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커피와 아이스크림 교환권을 주고 받는 일이 너무 흔해져버렸습니다. 이제는 그리 신기할 것도 없고 진부해져버렸습니다. 모바일 상품권을 보내는 것은 종종 관계에 진심을 쏟지 않는 대신에 보내는 편리하고 성의없는 "사과"로 비추어지기도 합니다. 만약 우리가 누군가에게 진심을 전하고 싶다면 메신저로 모바일 교환권을 보내는 것은 어쩔 수 없을 때에만 쓰는 마지막 수단으로 해야 할 것입니다.
![]() |
Starbucks vouchers are the most popular item. |
Reference
1) https://1boon.kakao.com/ppss/5beb84d3ed94d20001b0e891
2) https://news.joins.com/article/23549706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