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4 things that may surprise you while dining in Korean restaurants. 한국 음식점의 4가지 신기한 물건


Have you ever tried Korean food? If you haven't, consider trying it. Korean dishes will bring you a novel experience. Dining out at a Korean restaurant is more than just tasting Korean food. Other than the foods, you will be able to feel the unique Korean vibe there. There are also some interesting things you can find at typical Korean restaurants. Let me introduce you 4 things that may surprise you while dining in Korean restaurants. (Spoiler Alert!)

한국 음식을 드셔본 적이 있나요? 아직 못 드셔보셨다면 한 번 드셔보세요. 한국 요리들은 여러분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한국 음식점에서 식사를 하는 것은 단지 한국 음식을 맛보는 것 이상의 경험이지요. 음식은 물론이고, 한국의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한국 음식점들에는 신기한 것들이 있지요. 제가 한국 음식점의 4가지 신기한 물건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Call bells 호출벨
Once you get seated, the first thing you may notice on the table will be this. It is a call bell. In most Korean restaurants, you don't need to raise your hand or wait for a server to come around. You can simply press the button, then a server will check the number of your table through the digital display hanging on the wall and come around. It's been a long time since this system was introduced. It is reportedly said that this system can be traced back to the 1990s. (I couldn't find the concrete reference, though.) Today's call bells are even more advanced.  They often have as many as three buttons for beers, sojus, and others. In this way, the servers can save unnecessary trips to your table to ask about your need. However, you may have to press the button over and over again at some popular restaurants that are always crowded since the servers are likely to miss your call due to the constant ringing. To really get their attention at such times, don't hesitate to wave your hand and ask "Jeogiyo (저기요, excuse me)" firmly and confidently. They will take it in stride unless you're yelling. High-end Korean restaurants usually don't prefer such a system and have designated servers to take care of each table instead, like western counterparts.

우선 자리를 잡고 나면, 아마도 당신은 테이블 위의 이것에 먼저 눈길이 가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호출벨입니다. 대부분의 한국 음식점들에서는 종업원을 부르기 위해 손을 들고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종업원이 벽에 걸린 전광판에 표시된 번호를 확인하고 당신이 있는 곳으로 갑니다. 이런 시스템이 도입된 지는 오래 되었습니다. 전해듣기로는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확한 자료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오늘날의 호출벨들은 더욱 발전된 형태입니다. 때로는 맥주, 소주, 그 외 용도를 위한 버튼이 3개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종업원들이 손님이 필요로 하는 것을 묻기 위해 여러번 오가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항상 사람들이 많이 몰려있는 인기있는 음식점에서는 버튼을 반복해서 눌러야 할 수도 있습니다. 쉬지 않고 울려대는 벨소리에 종업원들이 당신의 호출을 놓칠 수도 있으니까요. 그럴 때에 종업원들의 주의를 제대로 끌기 위해서는 망설이지 말고 단호하고 자신있게 손을 흔들며 "저기요"라고 말하세요. 당신이 고함을 지르지 않는 이상은 당연하게 받아들일 것입니다. 고급 한식당에서는 이런 시스템을 선호하지 않고 서양 레스토랑들과 같이 테이블마다 지정된 종업원이 있습니다.


2. Utensil drawer 식기 서랍
Now your foods are served but you may panic not knowing where to find your spoon and chopsticks. Keep calm and look for a box with a lid on the table. If there's nothing, look under the table. In many cases, there would be a utensil drawer containing spoons, chopsticks, napkins, and even a bottle opener. If you have difficulty finding anything like that, just keep scanning. Even Koreans have a hard time finding it as the utensil drawer is often unnoticeably hidden in the table.

이제 음식이 나왔지만, 숟가락과 젓가락을 찾지 못해 당황할 수도 있습니다. 침착하게 식탁 위에 뚜껑있는 상자를 찾아보세요. 아무것도 없다면 테이블 아래를 보세요. 대부분 수저와 냅킨그리고 병뚜껑까지 들어있는 식기 서랍이 있을 것입니다. 이런 서랍이 잘 안 보인다고 해도 계속 살펴보세요. 식기 서랍이 가끔 찾기 힘들게 식탁에 숨어 있는 경우가 있어 한국 사람들조차 애를 먹고는 합니다.


3. Kitchen scissors 주방용 가위
I don't remember when using the kitchen scissors on the table became the norm (According to people from my parents' generation, perhaps around the 2000s.), but now it is a widespread practice in Korean restaurants. We use the scissors to cut Korean barbecue, cold noodles, and kimchi. In many Korean restaurants, dishes are often cooked at the table, and more often than not the cooking process needs diners' participation. Korean barbecue and accompanying side dishes including kimchi need a lot of cutting. If diners use knives along the way, it can be dangerous and appear threatening to nearby patrons at other tables. I think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Korean restaurants provide a pair of kitchen scissors to each table. If you are familiar with Chinese culture, you may mind cutting the noodles, especially on special occasions, like the Lunar New Year, or a birthday, because noodles symbolize longevity in China. Our ancestors used to share similar culture but modern-day Koreans generally don't take it seriously any longer.

식탁 위에서 주방용 가위를 쓰는 것이 언제 일반화되었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지만, (부모님 세대의 어른들 말씀에 의하면 아마도 2000년대일 것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한국 음식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구운 고기를 자를 때에도, 냉면도, 김치도 모두 가위를 이용합니다. 많은 한식당에서 음식이 식탁 위에서 조리되고 대개는 손님들이 직접 조리과정에 참여합니다. 한국식 바비큐와 그 외 김치를 포함한 반찬들을 잘라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손님들이 그 과정에서 칼을 사용하게 되면 위험하고 주변 손님들에게 위협적으로 보일 것입니다. 그래서 한식당에서 각 테이블에 가위를 주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만약 중국 문화에 친숙하시다면, 국수가 장수를 상징하기 때문에 음력 설날이나 생일과 같은 특별한 날에 특히 국수를 자르기가 망설여지실 수도 있겠습니다. 저희 선조들은 비슷한 문화를 공유했었지만, 현대 한국인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http://mhousing.sarangbang.com/portfolio/detail.html?uid=54&url=index.html
https://m.blog.naver.com/honeyk3/221007785117

4. Storage benches 수납 의자
These are the typical looks of a Korean Barbecue restaurant. If you are an observant person, you may find out that the first thing diners do before sitting at the table is opening the bench (or the oil drum stool) and putting their stuff in it. Yes, there's a secret space inside of them. I know storage benches are considered convenient and useful home furniture in many countries but perhaps Koreans are the most enthusiastic about using them. You can keep your things safe and put them aside not to get in others' way. Restaurants are usually crowded so I personally love this idea. Providing such convenience is also a partial solution for the unpleasant smell that will get into your clothing after enjoying the Korean barbecue. You can save your coat from the stench by putting it inside the storage box. (Sometimes the restaurant staff offers a large plastic bag to keep your coat in it.)

이것은 전형적인 한국 고깃집의 모습입니다. 관찰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면, 손님들이 자리를 잡고 앉기 전에 제일 먼저 의자를 열고 소지품을 넣는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맞아요, 의자 안에 비밀 수납 공간이 있습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길다란 수납 의자가 편리하고 유용한 가구로 간주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아마도 한국 사람들이 가장 즐겨 사용하지 않나 싶습니다. 소지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소지품이 다른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길을 방해하지 않도록 해 주기도 합니다. 음식점들은 대개 복잡하기 때문에, 저는 이 아이디어를 정말 좋아합니다. 그런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옷에 고기 냄새가 배는 것을 부분적으로나마 막아주기도 합니다. 수납함에 넣음으로써 외투를 냄새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종업원이 외투를 담을 큰 비닐 봉투를 주기도 합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토익 공부 안 하고 한 번에 985점 받은 후기/평소 영어 실력 키우기

공인 영어 시험 성적이 필요하지도 않았는데 작년에 수험료 할인 기회가 있어서 토익 시험을 보았다. 공인 영어 시험은 약 8년만이었다. 토익 점수가 영어 실력과 비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문제풀이 스킬에 의존해서 실제 실력에 비해 고득점을 받을 수도 있고, 점수만 높고 말하기가 전혀 안 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반대로 평소 영어 실력이 좋다면 학원 도움 없이 어렵지 않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1년 정도 일상에서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고 내 실력 변화가 궁금했다. 내 평소 실력을 확인하고 싶어서 문제 유형 확인을 위한 모의고사 1회만 풀어보고 토익 시험에 응시했다. (파트별 문제집이나 학원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나는 30대 중반의 직장인이다. 직장에서는 그닥 영어를 쓸 일이 없다. 이제까지 해외여행을 제외하고 외국에 살아 본 적이 없다. 최근 10년간은 영어 학원에 다닌 적이 없다. +고등학교 시절 1학년때 한 8개월, 3학년 때 2개월 정도 영어 학원에 다녔다. 과외는 받아본 적이 없다. 대학생 때(텝스 990이 만점이던 시절) 텝스 공부를 혼자서 해본 적이있다. 신입생 때 교내 모의 토익을 한 번, 8년전에 취업 서류 제출때문에 공인 토익 시험을 한 번 봤다. 다만, 시험을 보기 전에 1년 정도는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다. 영어를 시험 과목이나 자격증이 필요한 분야보다는 그저 언어로 생각하며 지냈다. 특별한 목표 설정 없이 그저 일상에서 영어를 많이 사용하려고 했는데 자세한 이야기는 뒤에서 하려고 한다. 985 점이 나왔다. 세상에, 나도 놀랐다. Listening part는 사실 안 들리는 부분은 거의 없었다. 다만 내가 영어 시험이란걸 본 지가 오래 되어서 그런지 '와 요새는 보기가 이런식으로 나와?' 하다가 다음 문제를 못 듣고 당황해서 찍은게 몇 개 있었는데 거기서 틀린 것 같다. 아직 운전하며 우리말 라디오 방송 듣듯이 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