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왜 가게마다 고객경험이 이렇게 다를까? (카페에서 느낀 고객 접점 종업원의 중요성) An experience at a cafe and the importance of front-line staff.

On Saturday morning, as always, I wanted a getaway to relieve my fatigue that had built up during weekdays. I searched for a beautiful cafe nearby and found one. While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cafe on the internet, I also found a hand-made furniture company sharing the name of the cafe. These two places were not too apart from each other, so I became more confused. The mystery was solved when I finally arrived and entered the cafe.

The cafe occupied the whole first floor of a small, two-story building while the second floor was dedicated to the display of hand-made wood furniture. The furniture turned out to be the products of the company I had found earlier. That's the reason the cafe and the company shared the same name. The chairs, tables, and tableware in the cafe were also the products of that company and offered a consistent theme throughout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calm and cozy atmosphere was pleasing. I found this to be a brilliant marketing strategy — drawing people to the beautiful and cozy cafe and then smoothly introducing their company's furniture to the people.


After looking around briefly, I went to the counter to order. Two employees were standing across the counter and one of them approached me as if she had noticed my intention. I began to order, mentioning a specific drink on the menu. However, she didn't respond but held her head down and stared at the monitor on the counter. She didn't make eye contact and said nothing. I couldn't figure out whether she was listening or not. Such awkwardness caught me off guard. At that moment, the other employee — at some distance away — turned his head and responded to my order. I managed to place the order and got back to my table, but felt confused. There weren't any other customers ready to be served. Everyone except us had already been served. Any short-tempered customer would have expressed displeasure at that moment because the employee's attitude was enough to make customers feel disregarded.


On the other hand, I could understand why such an incident happened. Perhaps the owner of the furniture company also owned the cafe. This frontline staff may have been just employees or part-timers who didn't have any interest in this store's success. It seemed that the owner had failed to share his or her values with these employees.

The other day, I had a great time at another local cafe where the owner treated me as if I were her only customer. The striking contrast between these two experiences made me ponder a while. How frontline staff engage a customer determines how the rest of the customer's experience will go. Besides, engagement starts from the moment a customer steps into a store. How that interaction goes will ultimately determine whether that customer will enjoy the stay and recommend the place to their friends and family or turn around, walk out, and never return. It's all about the initial engagement that makes or breaks a retail store. Personally, I have a close friend who owns three restaurants so I can relate to the owners who may have difficulty training employees. However, it was still a shame to witness such disharmony between immature frontline staff and an elaborately designed place.

**This writing is part of my learning process. When I choose a topic to write about, I google and read related articles to learn natural English expressions. I try to make an impromptu speech based on what I learned. Then write down the script. I review my writing and check grammar as far as I can. I have it revised by someone whose first language is English. Lastly, I read aloud the writing many times until I can memorize it.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잘못 발음하기 쉬운 의학 용어 영어 단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의학 용어 영단어들은 대개 다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기도 어렵고, 우리말로 바꿔놓은 텍스트를 읽노라면 원서를 읽는 것보다 머리가 더 지끈거릴 때도 있다. 하지만 원서는 그저 눈으로 읽을 뿐이다. 결국 발음은 제각각 다들 개성넘치게 하고 수업시간에도 웬만해서는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울 수가 없다. 그렇게 의대 본과 4년, 인턴과 레지던트 5년 합쳐 9년 동안 굳어진 잘못된 발음을 이후에도 계속 쓰는게 일반적이다. 이왕 하는 영어 공부 내 전공에도 접목시켜보자. 매번 마음속으로 갸우뚱하며 자신없이 발음했던 의학 용어들을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검색해 목록을 만들었다. 앞으로 발음이 헷갈리는 다른 의학 용어가 생길 때마다 바로 사전을 찾아보든지 유튜브를 찾아보고 정리해놓을 예정이다.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0. 5. 27.) 단어 / Pronunciation symbols (Merriam-Webster dictionary) Anatomy-related pulmonary /  ˈpu̇l-mə-ˌner-ē / ㅓ와ㅜ의 중간느낌? 퍼ㅜㄹ머네리 *Cambridge [ˈpʊl.mə.ner.i], Oxford [|pʌlməneri], Collins  [pʌlməneri] mediastinum / mē-dē-ə-ˈstī-nəm / 메디아스티넘 아니고 미디어스타이넘 endocrine / ˈen-də-krən  , -ˌkrīn, -ˌkrēn / 엔도크라인 아니고 엔도크런, 엔도크린 aorta /  ā-ˈȯr-tə / 아올타 아니고 에이올더 atrium / ˈā-trē-əm / 아트리움 아니고 에이트리엄 myocardium / mī-ə-ˈkär-dē-əm / 마이오카ㄹ디엄 branchial / ˈbraŋ-kē-əl / 브랜키-얼 bronchial / ˈbräŋ-kē-əl / 브란키-얼 bronchiole / ˈbräŋ-kē-ˌōl / 브란키-오울 azygos / (ˌ)ā...

Drinking culture in Korea: Honsul (drinking alone) / 한국의 음주 문화: 혼술

Honsul (혼술, drinking alone)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honja (혼자, alone) and sul-masigi (술 마시기, drinking). It has become a trendy and widely used word to describe how people have been drifting away from drinking with company since the 2010s. This trend is generally thought of as driven by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alone. '혼술'은 '혼자'와 '술 마시기'의 합성어입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음주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2010년대 이후 유행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혼자 사는 20대, 3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이러한 문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onsul at home (only two days ago) Honsul as a counter-reaction to hoe-sik 혼술, 회식 문화에 대한 반작용 Drinking alone never used to be common in Korea. Many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60s and 70s are heavily group oriented. They highly value group activities and like to do everything "together." Members of their groups aren't allowed to say "no" to group activities. As they are now in key positions of companies, the...

토익 공부 안 하고 한 번에 985점 받은 후기/평소 영어 실력 키우기

공인 영어 시험 성적이 필요하지도 않았는데 작년에 수험료 할인 기회가 있어서 토익 시험을 보았다. 공인 영어 시험은 약 8년만이었다. 토익 점수가 영어 실력과 비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문제풀이 스킬에 의존해서 실제 실력에 비해 고득점을 받을 수도 있고, 점수만 높고 말하기가 전혀 안 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반대로 평소 영어 실력이 좋다면 학원 도움 없이 어렵지 않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1년 정도 일상에서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고 내 실력 변화가 궁금했다. 내 평소 실력을 확인하고 싶어서 문제 유형 확인을 위한 모의고사 1회만 풀어보고 토익 시험에 응시했다. (파트별 문제집이나 학원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나는 30대 중반의 직장인이다. 직장에서는 그닥 영어를 쓸 일이 없다. 이제까지 해외여행을 제외하고 외국에 살아 본 적이 없다. 최근 10년간은 영어 학원에 다닌 적이 없다. +고등학교 시절 1학년때 한 8개월, 3학년 때 2개월 정도 영어 학원에 다녔다. 과외는 받아본 적이 없다. 대학생 때(텝스 990이 만점이던 시절) 텝스 공부를 혼자서 해본 적이있다. 신입생 때 교내 모의 토익을 한 번, 8년전에 취업 서류 제출때문에 공인 토익 시험을 한 번 봤다. 다만, 시험을 보기 전에 1년 정도는 영어와 친해지려고 노력했다. 영어를 시험 과목이나 자격증이 필요한 분야보다는 그저 언어로 생각하며 지냈다. 특별한 목표 설정 없이 그저 일상에서 영어를 많이 사용하려고 했는데 자세한 이야기는 뒤에서 하려고 한다. 985 점이 나왔다. 세상에, 나도 놀랐다. Listening part는 사실 안 들리는 부분은 거의 없었다. 다만 내가 영어 시험이란걸 본 지가 오래 되어서 그런지 '와 요새는 보기가 이런식으로 나와?' 하다가 다음 문제를 못 듣고 당황해서 찍은게 몇 개 있었는데 거기서 틀린 것 같다. 아직 운전하며 우리말 라디오 방송 듣듯이 편하...